AI 활용ㆍ금융플랫폼 제고 한목소리
금융지주회사법 개정 요구도
금융지주 회장들은 올해 금융사의 새 먹거리로 인공지능(AI) 등 디지털과 비금융 서비스 연결을 통한 종합금융플랫폼 도약을 중점으로 내다봤다. 망분리 등 규제 장벽이 더 허물어져야 그룹사 간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5일 본지가 국내 8개 금융지주사(KB·신한·하나·우리·DGB·BNK·JB·메리츠금융)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중복 포함) 응답자 50%가 올해 새 먹거리로 AI 등 디지털을 언급했다. 종합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한 금융플랫폼을 제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50%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글로벌 시장 개척(25%) △비금융 신사업(25%) △녹색기후금융(25%) 등이 거론됐다.
금융권은 올해도 디지털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우며 관련 역량 강화에 힘을 쏟는다. 비대면 금융 서비스 수요가 늘면서 금융의 디지털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8개 지주 회장들 역시 비대면 채널을 중심으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비금융 서비스를 연결해 자사 플랫폼으로 고객을 유입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8개 회장들이 가장 시급한 금융규제와 법안으로 지목한 것은 ‘금융업 관련 인허가 규제 완화’였다. 금융산업은 기본적으로 ‘규제산업’이다보니 새로운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각종 인허가가 필요하다. 글로벌 은행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규제완화가 시급하다는 데는 당국 역시 뜻을 같이 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보호를 앞세운 업권의 복잡한 이해관계, 정치권 장벽에 가로막히기 일쑤였다.
과도한 망분리 규제로 디지털 신기술 도입·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A 회장은 “망분리 규제 개선 로드맵과 관련해 현재 금융사들이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신청 중에 있다”며 “금융사들의 신청, 허용 과정에 있어서 절차 간소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금산분리 완화와 함께 비금융 영역에 대한 다각적인 사업 확대와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B 회장은 “금융사의 혁신적인 금융상품 강화를 위해 금융지주 소속 핀테크 비금융 자회사가 투자자문 영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이 시급하다”며 “비금융 자회사에 대한 출자 제한 완화, 그룹사 간 시너지를 위한 위수탁 제도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은행이 보다 적극적으로 벤처펀드에 출자할 수 있도록 정책목적 벤처펀드에 대한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 예외적용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C 회장은 “지방소멸 대응과 지방 활력 제고 차원에서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를 위해 노력 중”이라며 “벤처투자에 대한 출자금이 국제결제은행(BIS)비율 규제상 높은 위험가중치를 적용받아 투자에 한계가 있어 위험가중치 규제 완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