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연금개혁, 누가 제안 중요하지 않아…국민의힘 성과로 만드시라”

입력 2025-01-31 10: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국민의힘의 성과로 만드시라”라며 초당적인 시행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31일 오전 국회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새 희망을 만들어야한다. 국민연금 개혁의 중요성이 참 강조되고 있다”며 “초당적으로 연금개혁을 일부나마 시행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연금 개혁은 누가 제안했느냐가 중요하지 않다”며 “국민의 힘의 성과로 만드시라”고 제안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가 4대 개혁한다고 열심히 연금 개혁 얘기를 했는데 막상 민주당이 양보해서 합의가 될 것 같으니까 갑자기 태도를 돌변했다”며 “연금 납부율 13% 합의됐지 않나. 소득 대체율 44%는 국민의힘이 주장했다”며 “민주당은 (소득대체율)50%를 주장하다가 45%로 양보해서 합의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영수 회담을 했을 때 저는 45%를 주장했지만 합의의 여지가 있다고 말씀드렸다”며 “그때 당시 대통령께서 44% 합시다, 국민의힘 안대로 합시다. 또는 44.5%로 합시다. 44.01%로 합시다. 이러면 받을 생각을 가지고 제안을 드렸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44%냐 45%냐 (여야안 간에) 1% 간격이 있다”며 “그 차이 때문에 안하는 것보다 불만스럽지만 하는게 낫다. 뭐든 완벽한 안이 합의 되면 좋겠지만 그게 아니면 모자란 안이라도 안하는 것보다 낫다. 그게 정치”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신속하게 모수 개혁부터 2월 안에 매듭짓기를 바란다. 이번에도 또 얘기가 될 것 같으니까 자동안정화 장치는 꼭 받아주면 좋겠다 그러던데 그건 또다시 얘기하면 된다”며 “4대 개혁하자는 말만 하고 실제 할 생각은 없구나. 더이상 국민을 속인다는 의심을 받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중국서 신종 코로나 발견?…‘코로나19 시절’ 재공포감 [해시태그]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대학생 근심 덜어주는 ‘국가장학금’, 올해부턴 수혜 대상 1.5배 확대…나도 대상일까? [경제한줌]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035,000
    • -6.41%
    • 이더리움
    • 3,624,000
    • -5.82%
    • 비트코인 캐시
    • 424,400
    • -4.84%
    • 리플
    • 3,336
    • -5.55%
    • 솔라나
    • 210,000
    • -4.46%
    • 에이다
    • 987
    • -5.55%
    • 이오스
    • 821
    • -4.65%
    • 트론
    • 337
    • -6.13%
    • 스텔라루멘
    • 424
    • -7.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750
    • +0.1%
    • 체인링크
    • 22,180
    • -5.34%
    • 샌드박스
    • 449
    • -4.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