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휘발유·경유 수출량 사상 최대…석유제품 수출도 역대 2위

입력 2025-02-0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석유협회, 작년 정유업계 실적 발표
휘발유·경유 수출량 수출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
석유제품 수출도 2018년 이어 역대 2위 기록
“고부가가치 제품 주력해 수출 강국 입지 강화”

▲에쓰오일 울산 공장 전경. (사진제공=에쓰오일)
▲에쓰오일 울산 공장 전경. (사진제공=에쓰오일)

지난해 정유업계가 수출한 휘발유와 경유 물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한석유협회(KPA)는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휘발유가 1억1189만 배럴, 경유는 2억166만 배럴로 석유 수출통계가 작성된 1992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 대비 4.8% 증가한 4억90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중 52.5%를 정제해 수출하며 수출 비중도 최고치를 나타냈다.

다만 석유제품 수출액은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하락의 여파로 2.9% 감소한 451억7000만 달러(약 61조6100억 원)로 집계됐다.

휘발유, 경유 이외에 고부가가치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3% 늘어난 8826만 배럴에 달했다.

대한석유협회 측은 “휘발유, 경유 수출량 최대치 기록은 지난해 글로벌 정제마진 약세로 경영 여건이 악화된 가운데 국내 정유사가 경질석유 제품 수출 확대로 돌파구를 모색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으로는 경유가 41.1%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휘발유(22.8%), 항공유(18.0%), 나프타(8.1%) 순으로 나타났다.

휘발유 수출은 전년 대비 12.1%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가운데 대(對)일본 수출량은 33% 급증했다. 일본은 탈탄소화 및 에너지 절약 일환으로 10년 전 정유공장을 통폐합해 정제능력과 연료생산이 감소 중인데, 지난해 엔저 현상에 따른 해외 관광객 급증으로 휘발유와 항공유 부족 사태를 겪은 바 있다.

국가별 수출량은 호주(18%), 일본(12.9%), 싱가포르(12.5%), 미국(8.8%), 중국(8.7%) 순으로 일본이 싱가포르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호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으로 경유를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올해는 글로벌 경제가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에너지·통상 정책 영향 등으로 불안정성이 높아져 석유제품 수출환경도 녹록지 않을 것”며 “정유업계는 정제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주력해 석유제품 수출의 질을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816,000
    • -0.41%
    • 이더리움
    • 4,830,000
    • -3.8%
    • 비트코인 캐시
    • 621,000
    • -4.75%
    • 리플
    • 4,489
    • -3.19%
    • 솔라나
    • 330,500
    • -6.27%
    • 에이다
    • 1,372
    • -4.39%
    • 이오스
    • 1,133
    • -7.74%
    • 트론
    • 378
    • -3.57%
    • 스텔라루멘
    • 604
    • -4.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950
    • -4.89%
    • 체인링크
    • 35,310
    • -8.67%
    • 샌드박스
    • 742
    • -7.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