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공포가 현실로’ 트럼프, 1호 관세 발동...중국 10%, 캐나다ㆍ멕시코 25%

입력 2025-02-02 11: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일 오전 0시 1분부터 시행
캐나다산 에너지에만 예외로 10% 적용
관세 배경에 불법 이민자, 펜타닐 유입 거론
트뤼도 “멕시코 대통령 만날 것”
멕시코 대통령 “우린 협상 때 절대 숙이지 않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1호 관세를 발동했다. 예고한 대로 멕시코와 중국, 캐나다 등 최대 교역국 3곳이 대상이 됐다.

1일(현지시간) CNN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10%,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소비자 혼란을 줄이기 위해 캐나다산 에너지에만 10% 관세라는 예외를 적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이 같은 사실을 알리면서 미국을 다시 강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불법 이주민과 펜타닐 등 치명적 약물이 우리 시민을 죽이는 주요 위협이 된 상황에서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관세가 발동됐다”며 “우린 미국인을 보호해야 하고 내 임무는 대통령으로서 모든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나는 선거 운동 때 불법 이주민과 약물의 범람이 국경을 넘나드는 것을 막겠다고 약속했고 미국인은 압도적인 찬성표를 던졌다”고 덧붙였다.

이후 대통령선거 후보 시절 관세 공약을 발표하던 영상을 게재하고 “관세!”라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캐나다에 허용했던 최소 기준 면제도 배제하기로 했다. 미국에서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약 116만 원) 이하 캐나다 상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았다.

상대국의 보복 조치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로이터통신은 백악관 관계자들을 인용해 “관세에 제외되는 품목은 없다”면서 “캐나다, 멕시코, 중국이 미국 수출품에 보복 조치를 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관세 부과는 4일 오전 0시 1분부터 시행되며, 국가 비상사태가 끝날 때까지 관세 정책이 유지될 것이라고 백악관은 밝혔다. 다만 관세 부과를 유예받기 위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중국, 캐나다를 가장 먼저 타깃으로 삼은 이유는 이들 3국이 미국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미국이 전 세계에서 수입한 3조 달러(약 4375조 원) 상당의 상품 중 3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2%에 달한다. 반면 미국은 수출이 수입에 미치지 못하면서 오랜 기간 무역적자를 겪는 실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상대국 모두 반발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준비됐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을 만날 것”이라며 멕시코와의 협력을 예고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멕시코 정부가 범죄조직과 동맥을 맺었다는 백악관의 중상모략과 우리 영토에 대한 개입 의도를 단호히 거부한다”면서 “우리가 협상할 때는 결코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장관에게 “보복 관세를 포함한 대응 계획을 시작하라”고 지시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과거 당국자들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중국이나 미국, 나머지 세계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288,000
    • -0.83%
    • 이더리움
    • 4,840,000
    • -2.79%
    • 비트코인 캐시
    • 624,000
    • -4%
    • 리플
    • 4,476
    • -2.36%
    • 솔라나
    • 331,700
    • -5.26%
    • 에이다
    • 1,386
    • -2.81%
    • 이오스
    • 1,131
    • -7.07%
    • 트론
    • 378
    • -3.08%
    • 스텔라루멘
    • 604
    • -3.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800
    • -4.01%
    • 체인링크
    • 35,310
    • -7.3%
    • 샌드박스
    • 742
    • -6.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