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텅스텐 수출 통제·WTO 제소도
캘빈클라인 모기업, 제재 명단 올려
“구글 조사, 억압이라기보단 상징적”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10% 추가 관세 조치가 이날 자정 부로 발효되면서 제2차 미·중 무역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와가 발효 몇 시간 전에 극적 타결을 이룬 것처럼 중국과도 자정 전에 합의를 이루길 바랐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각각 전화 통화를 하고 이날 적용될 예정이던 25%의 관세 인상 조치를 30일간 유예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미국이 요구한 마약 펜타닐과 불법 이민자 유입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노력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24시간 안에 중국과도 대화하겠다”고 밝힌 만큼 중국에 대해서도 같은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 하지만 예정된 발효 시간이 다 되도록 희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 되레 예정대로 미국이 대중국 10% 추가 관세를 발효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했다.
중국은 곧바로 각종 보복 조치를 쏟아냈다. 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의 관세를 10일부터 추가로 부과한다고 밝혔다. 텅스텐 관련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에도 나섰다.
또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성명에서 “미국 기술 대기업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혐의를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캘빈클라인의 모회사인 PVH 그룹과 유전자 분석업체인 일루미나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에 추가했다. 해당 명단에 오르면 중국 내 판매와 영업, 투자 등이 제한되거나 금지되며 벌금을 맞을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중국은 미국의 10% 관세 인상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기로 했다.
미국도 10%의 대중국 추가 관세가 시작에 불과하다고 공언한 만큼 상황은 더 악화할 우려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국 관세와 관련해 “대중 관세는 개시 사격이었다”며 “중국과 합의하지 못하면 관세는 매우 큰 폭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중국의 관세 부과 범위는 미국만큼 광범위하지 않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미국의 대중 관세는 거의 모든 중국산 제품에 적용되지만 중국의 대응은 석탄·LNG·농업 장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블룸버그는 “주목할만한 점은 구글을 타깃으로 삼은 것인데, 이러한 움직임은 억압이라기보다는 상징적 의미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구글은 2010년 중국 정부와의 충돌 이후 중국에서 철수했지만 여전히 중국 내에서 글로벌 홍보를 원하는 현지 기업들에 광고 공간을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