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가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기자간담회에서 “오픈AI가 AGI로 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서드파티 플랫폼 사업자와 서비스가 필요할텐데 메신저나 지도, 모빌리티, 결제 등 전방위적인 사업을 하는 카카오와 협업하면 양사 강점을 레버리징하는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정 대표는 “카나나를 포함해 오픈AI의 API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라인업을 출시할 예정”이라며 “양사가 공동개발까지 추진하고 있어 AI 기술의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에이전트 서비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AI 에이전트 서비스다. 카나나는 지난해 연말 사내 테스트를 거친 후 서비스 고도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정 대표는 “카나나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서비스이며 카카오톡처럼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내야 하기 때문에 비공개시범테스트(CBT) 이후 바꿀 부분이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상반기 중 1차 출시를 시도할 예정이며 연내 안에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카카오는 오픈AI와 협업을 통해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한층 강화할뿐 아니라 개발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간담회에 전략적 제휴 발표를 위해 깜짝 등장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 AI 기술 발전은 단순히 성능 향상뿐 아니라 비용의 감소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새로운 모델 개발을 통해 운영 비용이 작년 대비 10배 가량 줄이는 데 성공했다”며 “비용 감소를 통해 AI 기술의 접근성을 높이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비용 감소는 AI 기술의 보급과 활용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예를 들어, 현재 GPT-4와 같은 대형 AI 모델 비용이 많이 들지만 근시일내에 가정용 컴퓨터에서도 비슷한 성능의 모델을 실행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했다.
올트먼은 “카카오와 오픈AI의 미션은 모두를 위한 AGI의 이점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단순히 훌륭한 연구뿐 아니라 훌륭한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데 우리는 파트너십을 통해 이를 수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