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헌법재판소에 따르면 여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국회 측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14명의 체포 명단을 받은 사실이 있냐’고 묻자 그는 “형사재판에서 답하겠다”고 응답했다.
여 전 사령관은 “장관으로부터 지시받은 사항을 이해해서 부하들에게 얘기한 것이고, 부하들 각자에게 지시사항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서로 이해한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며 “형사재판과 관련한 부분이라 자세히 진술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30일 김 전 장관과 저녁을 먹으며 비상계엄 관련 이야기를 나누다 식탁을 내리치며 고성을 질렀다는 내용으로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선 “(내가) 계엄에 대한 부정적 견해와 소신을 말하면서 다소 언성이 올라간 것은 맞지만, 그분이 장관인 점을 상식적으로 고려해달라”고 설명했다.
국회 측이 방첩사 수사단으로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을 우선 체포하라는 지시가 있었음을 알고 있냐고 묻자 “증거기록을 보면 그런 진술과 반대되는 것이 많다”고 말했다.
계엄 선포 무렵 조지호 경찰청장과 전화 통화에서 특정 인물들의 이름이 담긴 명단을 전달하며 위치 정보를 요청한 사실은 시인했다.
여 전 사령관은 “조 청장에게 법령과 작전 계획에 따라 합동수사본부가 구성돼야 하니 경찰 인력을 보내달라는 것, 두 번째는 특정 명단에 대한 위치 파악을 부탁했다”고 말했다.
계엄 선포 당일 정성우 방첩사 1처장에 선거관리위원회 위치를 묻거나 서버를 뜯어와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냐는 국회 측 질문에는 “중요한 사안이라 형사재판에서 따져야 한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오래전부터 알았다고 인정하면서도, 계엄 직후 정 처장에게 노 전 사령관의 핸드폰 번호를 주며 연락해보라고 했냐는 질문에는 역시 형사재판에서 진술하겠다는 발언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