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가격 내렸는데 소매는 요지부동…정부, 김 유통 주 1회 점검

입력 2025-02-05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매점매석 행위 등 유통 교란 행위 가능성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마른김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마른김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김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주 1회 관계부처 합동점검에 들어간다. 물김 공급이 늘면서 도매가격은 내려가고 있는데 소매 가격까지 반영이 안 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해양수산부는 국내 유통·가공업체에 물김과 마른김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해양경찰청,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5일부터 주 1회 현장점검을 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이날 해수부에 따르면 국민 반찬인 김은 지난해 국내 수요 대비 공급이 줄면서 가격이 급등해 먹기 어려웠다. 하지만 올해는 다르다. 김 양식에 적합한 수온 지속, 양식면적 확대 등으로 2025년산 물김 생산량은 1월 3주 기준 24만231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했다. 이에 따라 마른김 도매가격은 2024년 12월 기준 1만2023원(100장)에서 1월 9823원(KMI 기준)으로 18.3% 하락했다.

다만 소비자들이 아직 체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전히 마른김 소매가격은 1월 기준, 1470원(10장)으로 전년 동월 1036원과 비교해 29.5%나 크게 오른 수준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산지가격하락에 따라 점차 안정될 전망이지만 도매가격이 왜 소매 가격에 반영이 안 되는지 유통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첫 현장점검은 이날 전라남도 목포 지역에서 하며 매주 전국 김 유통·가공업체를 대상으로 마른김·조미김의 생산 및 유통 현황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유통·가공업계에 물김 수급 전망 등 정보를 적극 제공해 적시 수매를 유도하고 마른김 시장 가격 안정을 위해 현장의 애로사항도 청취해 즉각 조치한다.

정부는 이번 점검과 함께 마른김의 원활한 국내 유통을 위해 이날부터 김 부정유통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김을 생산·유통·가공·판매하는 과정에서 매점매석 행위 등 건전한 유통질서를 교란하는 행위를 확인하는 경우 누구든지 센터로 신고하면 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국민 밥상의 대표 반찬인 김의 가격 안정을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유통 및 가공 현장을 꼼꼼하게 점검하겠다”며 “물김 업계의 자율적인 생산 조절을 유도하고 불법 양식을 단속하며 민간수매자금 융자 사업도 신속히 추진하는 등 김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
  • '14일 컴백' 블랙핑크 지수, 데뷔 후 첫 솔로 아시아 팬미팅 투어 나선다
  • 한국 컬링 믹스더블, 카자흐스탄 12-0 완파…1패 후 2연승 거둬 [하얼빈 동계AG]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696,000
    • -1%
    • 이더리움
    • 4,308,000
    • +1.99%
    • 비트코인 캐시
    • 518,000
    • +1.57%
    • 리플
    • 3,913
    • -0.61%
    • 솔라나
    • 320,200
    • -0.59%
    • 에이다
    • 1,170
    • +2.09%
    • 이오스
    • 963
    • +5.48%
    • 트론
    • 352
    • +3.23%
    • 스텔라루멘
    • 531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000
    • +2.48%
    • 체인링크
    • 30,570
    • -1.04%
    • 샌드박스
    • 625
    • +1.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