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걸 “신재생에너지 동력 상실…SMR 등도 고려해야”
민생 행보를 보이며 이른바 ‘우클릭’에 나선 더불어민주당에서 재생에너지와 관련해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왔다. 당내 ‘경제통’이라고 불리는 안도걸 의원은 5일 “신재생에너지 동력이 상실됐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의 7차 현장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간담회는 ‘멈춰선 에너지 전환, 전력산업의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박찬대 원내대표, 허영 민생경제회복단장 등 의원들과 업계 전문가·교수들이 참석했다.
안 의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신재생에너지 경제가 제대로 돌아가지 못하면서 신재생에너지에 의존한 에너지믹스가 취약하지 않느냐는 우려가 나온다”며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탄소 중립 정책을 도외시하고 화석연료를 본격적으로 개발해 국제유가 상승에 드라이브가 걸린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당장 인공지능(AI) 시대로 전환되며 반도체 빅데이터 센터에 어마어마한 전력이 공급돼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국제 경쟁력을 잃게 될 텐데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안 의원은 “신재생에너지가 아무리 좋다고는 하지만 이런 부분에서 항의가 있다면 강한 불을 끄기 위해 고효율 소형 모듈 원자로(SMR)나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고도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박찬대 원내대표는 “에너지 전환과 전력산업 계획은 핵심”이라며 “에너지 산업이 지체되면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고 국제시장에서 도태될 위험이 커진다”고 했다.
허영 단장은 “AI와 반도체 등 우리 경제를 이끌어 갈 핵심 산업의 성장을 위해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대비하고 탄소 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에너지 전환과 전력망 구축”이라며 “에너지 패권 시대에서 기후 위기 대응은 물론 에너지의 공공성 강화에 걸맞은 전력 확보를 위한 국가 전략 수립이 대한민국의 경쟁력과 에너지 안보를 지키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지체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믹스와 공공주도형 재생에너지 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상풍력 발전의 확대를 위해서는 주민 수용성을 높이고 공급사슬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또한 전력망 확충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법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이 지적됐다. 민영화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공공부문이 안정적으로 전력산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