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미국 센트루스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 체결

입력 2025-02-05 11:11 수정 2025-02-05 11: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간 원전 협력 첫 성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왼쪽)이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아미르 벡슬러(Amir Vexler) 센트루스 최고경영자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왼쪽)이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아미르 벡슬러(Amir Vexler) 센트루스 최고경영자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미국 핵연료 공급사와 10년 장기로 농축우라늄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의 원자력 분야 협력의 첫 성과를 달성했다.

한수원은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센트루스(Centrus Energy Corp.)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계약기간은 10년으로 이번 계약으로 한수원은 원전 연료로 사용되는 농축우라늄의 공급사를 다변화함으로써 연료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게 됐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계약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간 원자력 분야 협력의 첫 실질적 성과라는 측면에서 눈길을 끈다.

최근 국제 원자력 시장에서 자원 확보의 중요성이 주목받는 가운데, 이번 계약은 에너지 자원안보 및 핵연료 공급망 강화를 넘어 양국 원자력계의 전반적인 협력을 긴밀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센트루스는 미국 원자력안전위원회(NRC)로부터 차세대 원전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의 연료로 사용되는 고순도저농축우라늄(HALEU) 생산을 허가받은 유일한 기업이다.

특히, 2023년 11월 미국 오하이오 주 파이크톤에 있는 시설에서 20kgU(킬로그램우라늄)의 고순도저농축우라늄 초도 생산에 성공했으며, 이후 연간 900kgU 양산에 진입했다.

한수원은 이번 계약을 통해 기존 상용 원전뿐만 아니라 미래 원전에 필요한 연료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선점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이번 계약은 대한민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농축우라늄 공급망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원자력발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원자력 시장에서 대한민국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810,000
    • -1.44%
    • 이더리움
    • 4,339,000
    • +0.6%
    • 비트코인 캐시
    • 519,000
    • -0.76%
    • 리플
    • 3,937
    • -2.26%
    • 솔라나
    • 319,700
    • -2.02%
    • 에이다
    • 1,179
    • +0.08%
    • 이오스
    • 968
    • +3.64%
    • 트론
    • 353
    • +1.15%
    • 스텔라루멘
    • 533
    • -1.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0.47%
    • 체인링크
    • 30,640
    • -3.83%
    • 샌드박스
    • 629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