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 고객 특성 맞춤형 AI 마케팅 강화

입력 2025-02-11 10:12 수정 2025-02-11 13: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데이터 마케팅 2.5’ 프로젝트 본격 가동…점포별 구매패턴 분

▲현대백화점 본사 사옥 전경 (사진제공=현대백화점그룹)
▲현대백화점 본사 사옥 전경 (사진제공=현대백화점그룹)

현대백화점이 인공지능(AI) 기술에 기반한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마케팅에 드라이브를 건다.

현대백화점은 올해 ‘데이터 마케팅 2.5’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11일 밝혔다.

내부 직원용 판매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데이터 마케팅 1.0)이나 생일 등 단순 데이터를 활용한 매스 마케팅(데이터 마케팅 2.0)에서 더 나아가 점포별로 고객 구매 패턴을 구체화해 개인화 마케팅의 효율을 대폭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 로드맵에 따라 현대백화점은 전국 점포를 이용하는 수많은 고객의 가지각색 소비패턴을 분석 후 정교한 타깃 마케팅을 구현할 예정이다. AI 기계학습(머신러닝) 과정을 통해 고객군별로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분류하고 각 분류에 맞는 ‘취향 저격’ 콘텐츠로 마케팅을 펼치는 방식이다.

앞서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신촌점에 데이터 마케팅 2.5를 시범 적용한 바 있다. 신촌점 방문객 중 뷰티 상품을 주로 구매하는 고객은 연계 구매로 스파(SPA)나 스포츠 브랜드 구매율이 높다는 분석에 기반해 최적화한 마케팅을 구현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최근 6개월 내 뷰티 카테고리만 구매 후 점포를 나간 고객이 재방문 시 ‘SPA·스포츠 브랜드를 구매하면 추가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다’는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는 등 다양한 타깃 마케팅을 전개한 것. 그 결과 10월과 11월 두 달간 뷰티 카테고리 구매 고객 객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13% 늘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신촌점의 경우 뷰티 매출 비중이 높아 해당 카테고리 고객에 대한 세부 분석에 들어간 뒤 타깃 마케팅을 펼친 것”이라며 “다양한 점포로 데이터 마케팅 2.5를 확대 적용해 오프라인 유통에서도 개인별로 맞춤화된 마케팅을 제공하는 ‘딥리테일(Deep Retail)’을 적극적으로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202,000
    • -0.68%
    • 이더리움
    • 4,011,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507,500
    • +1.4%
    • 리플
    • 3,731
    • +1.63%
    • 솔라나
    • 300,700
    • -2.34%
    • 에이다
    • 1,188
    • +11.65%
    • 이오스
    • 954
    • -1.34%
    • 트론
    • 370
    • +1.65%
    • 스텔라루멘
    • 497
    • +3.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100
    • +0%
    • 체인링크
    • 28,640
    • +1.2%
    • 샌드박스
    • 604
    • +1.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