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작년 매출 542억 원…전년 比 116%↑

입력 2025-02-11 17: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영업손실 677억 원으로 확대…매출액 대비 손실 비율은 개선

(사진제공=루닛)
(사진제공=루닛)

루닛이 지난해 외형 성장에 성공했으나 적자 규모를 확대했다.

루닛은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 542억 원을 달성해 전년 대비 116% 증가했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677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회사는 매출액 대비 손실 비율은 전년 1.7배에서 1.25배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해외 매출은 전체의 88%인 478억 원으로 전년 213억 원 대비 124% 증가했다. 자회사로 편입된 볼파라 헬스 인수를 통한 북미시장 진출과 루닛 스코프의 빅파마 협업이 성장 배경이다.

루닛은 볼파라 인수로 북미 유방암 검진 시장 진입을 가속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암 검진 솔루션의 글로벌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볼파라 실적은 올해 루닛의 연간 실적에 반영돼 앞으로 매출 성장의 핵심 역할을 할 전망이다.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는 글로벌 빅파마와 협업하면서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를 잡았다. 지난해 말 아스트라제네카와 AI 기반 비소세포폐암 디지털 병리 솔루션 개발 계약을 맺었다. 양사는 루닛 스코프 지노타입 프리딕터를 활용해 폐암에서 발생하는 상피성장인자수용체(EGFR) 변이 예측 A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이 밖에 로슈 진단 디지털 병리 플랫폼에 루닛 스코프를 통합하는 협약을 통해 바이오마커 발현 정도에 대한 분석과 항암제 개발에 필요한 중요 임상 정보를 글로벌 고객사에 제공하고 있다.

루닛 인사이트 도입 기관은 60% 증가하며 영업력을 확대했다. 지난해 말 기준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도입한 의료기관은 전 세계 55개국, 4800곳을 돌파하며 전년 도입 의료기관 대비 60% 증가했다.

국내 시장도 성장했다. 2024년 국내 매출은 64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루닛 인사이트 CXR이 1분기부터 비급여 진료가 가능해졌고, 루닛 인사이트 MMG는 4분기부터 비급여 청구가 시작되면서 국내 의료기관의 도입이 확대됐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지난해 볼파라 인수를 통해 AI 기반 암 검진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글로벌 제약사들과 루닛 스코프 협업을 강화한 결과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다”라며 “올해는 볼파라 인수 시너지가 극대화되고,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추가적인 협업이 성사될 예정인 만큼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791,000
    • -1.05%
    • 이더리움
    • 4,006,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505,500
    • +0.5%
    • 리플
    • 3,715
    • +0.19%
    • 솔라나
    • 301,200
    • -4.05%
    • 에이다
    • 1,199
    • +11.64%
    • 이오스
    • 956
    • -2.15%
    • 트론
    • 371
    • +2.77%
    • 스텔라루멘
    • 499
    • +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150
    • +0.5%
    • 체인링크
    • 28,810
    • +0.52%
    • 샌드박스
    • 599
    • +0.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