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IRP 원리금 비보장상품 수익률 지난해 4분기 기준 업권 1위
![](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1163557_2135527_394_520.jpg)
미래에셋증권은 업계 최초로 퇴직연금 자산 30조 원을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달 23일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퇴직연금 자산은 확정급여(DB)형 퇴직연금 6조1300억 원,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11조9700억 원, 개인형 퇴직연금(IRP) 11조9000억 원 등으로 집계됐다. 2020년 말 13조 원이었던 퇴직연금 자산은 약 4년 만에 17조 원 증가했다.
올해 1월 말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연금 자산(퇴직연금+개인연금)은 44조3500억 원이다.
지난해 4분기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약 6조 원의 퇴직연금(DC∙IRP) 자산이 미래에셋증권으로 집중됐다. 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된 지난해 4분기에만 약 2조 원의 적립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흐름은 퇴직연금 시장의 성장세와 맞물려 있다. 고용노동부 퇴직연금 공시 기준, 퇴직연금(DC∙IRP)의 시장 규모는 2020년부터 2024년 4분기 말까지 연평균 25.9%씩 증가하며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의 성장 속도는 이보다 훨씬 가파르다. 같은 기간 미래에셋증권의 적립금 성장률은 연평균 38.1%씩 증가하며 시장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익률 면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금감원 퇴직연금 공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의 DC∙IRP 원리금 비보장 상품 1년 수익률은 각각 12.17%, 12.48%로 업권 내 1위를 기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연금 가입자들의 편의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신규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상반기에는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랩 서비스 출시 및 ETF적립식 매수 서비스를 퇴직연금에서도 확대 적용한다. 추후 모바일앱 ‘M-STOCK’에서 장내 채권 매매 시스템을 구축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투자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장효영 미래에셋증권 연금컨설팅본부장은 “연금 고객들이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성공적인 자산운용과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고객중심의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와 혁신적인 지원 방안을 통해 연금 시장의 리더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