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전력·전기산업 국제 전시회 개막…AI 전력 효율화 기술 등 조명

입력 2025-02-1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2~14일 코엑스서 '일렉스 코리아 2025' 열려
260여 개 기업 참여…최신 전력·전기 기술 및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전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여덟 번째)이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전력·전기산업 전문 국제전시회 '일렉스 코리아 2025 개막식'에 참석해 개막식을 알리는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여덟 번째)이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전력·전기산업 전문 국제전시회 '일렉스 코리아 2025 개막식'에 참석해 개막식을 알리는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국내 최대 전력·전기산업 국제 전시회가 막을 올렸다. 올해는 국내외 260여 개 기업이 참여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전력 효율화 기술과 직류 전력 시스템 발전 방향 등을 조명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기산업진흥회·스마트그리드협회·코엑스가 공동 주관하는 '일렉스코리아 2025(ELECS KOREA 2025)'가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올해 29회째를 맞은 '일렉스코리아'는 국내 최대의 전력·전기산업 전문 국제전시회이다.

올해는 국내외 260개 기업이 참가하며 △중전기기 △송배전 기술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등 최신 전력·전기 산업 기술이 한자리에 모인다. 특히, 올해 행사에서는 AI 기반의 전력 효율화 기술과 직류(DC) 전력 시스템의 혁신적인 발전 방향을 조명할 계획이다.

이날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역대 최대인 수출 156억 달러를 달성한 중전기기 업계를 축하·격려하기 위해 행사를 찾았다. 그는 기업 부스를 찾아 수출기업을 격려하고, 중전기기 수출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당부했다.

안 장관은 "AI 데이터센터 급증과 탄소중립 실현 등으로 호황을 맞고 있는 중전기기 산업이 수출을 견인할 수 있도록, 우리 업계는 올해 수출 목표를 역대 최대인 162억 달러로 설정했다"라며 "목표 달성을 위한 민간 공동의 노력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연구개발(R&D) 투자, 세제 지원, 무역보험과 해외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민관합동의 노력을 추진하겠다"라며 "이번 행사가 대·중소·중견기업 등 산업생태계 전반의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전시회에서는 수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해외 바이어 초청 1:1 수출 상담회와 발전사·수요처 구매 상담회, 컨퍼런스 및 해외기업 초청 투자설명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브ㆍ라이즈 동생 그룹이 벌써?"…엔터 업계 '카니발 효과'가 뭐길래 [이슈크래커]
  • '잠삼대청' 토허제 풀린다…재건축 단지 14곳은 제외
  • 인플루언서도 대치맘도 긁혔다…이수지가 꼬집은 대리수치 [해시태그]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단독 오세훈, 김종인과 설연휴 회동...金 “대통령 하려면 결단해야”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19,000
    • -1.67%
    • 이더리움
    • 3,970,000
    • -2.6%
    • 비트코인 캐시
    • 499,300
    • -2.48%
    • 리플
    • 3,649
    • -2.87%
    • 솔라나
    • 296,800
    • -2.85%
    • 에이다
    • 1,188
    • -1.49%
    • 이오스
    • 958
    • -1.44%
    • 트론
    • 368
    • -0.81%
    • 스텔라루멘
    • 479
    • -4.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400
    • -3.02%
    • 체인링크
    • 28,020
    • -4.3%
    • 샌드박스
    • 578
    • -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