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40대 교사가 8세 여아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사건이 발생해 사회적 충격을 안겼다. 이에 대해 범죄 전문가는 가장 비겁한 사건이라며 가학적 욕구에서 비롯된 계획된 범죄라고 분석했다.
표창원 범죄심리 전문가 범죄과학연구소장은 1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방어할 수 없고 선생이니까 따를 수밖에 없고 (초등학생 아이를) 마음대로 유인해서 계획대로 공격했을 것"이라며 "어리고 가장 약한 대상을 골랐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표 소장은 신림동 조선 흉기 난동 사건, 진주 안인득 살인 사건 등에서도 범행 동기가 '자신보다 약한 대상에 대한 공격'이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건의 주요 원인으로 우울증이 지목되지만, 표 연구소장은 단순한 질병 문제로 국한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관련 뉴스
그는 “우울증은 많은 사람이 겪는 질환이고, 치료를 받으면 상당히 호전될 수 있다”며 “이번 사건 때문에 우울증을 앓고 있는 분들이 계시고 불이익을 받는다면 정말 이는 잘못된 접근"이라고 말했다. 우울증 자체가 범행을 일으킨 것이 아니라, 가해자의 성향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게 표 소장의 주장이다.
가해 교사는 범행 도구를 미리 준비하고, 피해자를 특정 공간으로 유인한 뒤 다수의 치명상을 입힌 것으로 확인됐다. 표 소장은 이러한 행동이 ‘가학적 욕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흉기를 구입한 이유가 ‘자해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 "변명이고 합리화"라고 비판했다. 그는 "(그럴 이유였다면) 자기 혼자 스스로 자해하면 되는 것"이라며 "그런데 상관없는 행동들을 한 것으로 봐선 이미 범행 계획의 일환이라고 본다"고 했다.
표 소장은 "철저한 진상 규명이 당연히 우선돼야 한다"며 "범인에 대한 처벌을 위해서도 범행에 영향을 끼쳤을 수 있는 여지들과 가정 문제라든지 성장과정, 성격, 비관적인 태도 등 모든 것들을 좀 조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학교 안전 향상을 위한 철저한 대책 수립도 무엇보다 절실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