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vs 미국’ 관세 신경전..AI 정상회의서도 부딪혀

입력 2025-02-12 15: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EU 집행위원장 “부당한 관세 호응할 수 없어”
트럼프 1기 시절 동결 보복관세 살릴 듯
미국·영국 AI 정상회의 공동선언 서명 거부
밴스 “과도한 규제 혁신산업 죽일 수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위원장이 1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주재 미국대사관저에서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파리/로이터연합뉴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위원장이 1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주재 미국대사관저에서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파리/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결정하자 유럽연합(EU)도 즉각 보복 관세를 예고하면서 관세전쟁 확전이 예상된다. 인공지능(AI) 행동 정상회의에서도 미국과 유럽국 간 견해 차이가 드러나면서 분야를 막론하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회(EC)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이 유럽산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에 유감”이라며 “부당한 관세에 호응은 없다. 단호하게 상응하는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EU 무역 장관들은 12일 화상 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논의한다.

EU는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비한 보복관세 부과 품목을 준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수준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대비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약 70억 달러(약 10조 원) 규모의 유럽산 철강과 알루미늄 수출에 관세를 부과했다. EU도 대응 차원에서 철강·알루미늄, 농산물, 의류, 오토바이 등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이 2021년 일부 조치를 철회하고 금속 부문에 쿼터제를 도입하면서 양측은 무역 전쟁 일시 중단에 합의했다. 이에 EU는 당시 조치를 동결했다. 동결 기한은 다음 달 말까지다. 이번 관세 협상에 실패하면 EU 측은 트럼프 1기 당시 동결했던 조치를 바로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EU와 미국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AI 행동 정상회의에서도 신경전을 벌였다. 회의 2일 차인 이날 유럽 주도로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AI’를 지지하자는 공동성명에 EU와 중국, 일본 등 60개국이 서명했지만, 미국과 영국은 서명을 거부했다.

특히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과도한 규제는 혁신산업을 죽일 수 있다”면서 “열린 규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시도와 연구개발(R&D)을 가능하게 했다. 일부 국가가 미국 테크기업에 대한 규제를 엄격히 하려는 것을 우려한다”고 EU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AI는 사람들의 신뢰를 얻는 안전한 것이어야 한다”고 대립각을 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AI 분야에서의 미국 리더십을 강조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산업 경쟁력과 안보 관점에서 미국의 AI 패권을 강조하는 것으로, AI 경쟁에서도 미국 중심주의로 갈등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조짐이 보인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잠삼대청' 토허제 풀린다…재건축 단지 14곳은 제외
  • 인플루언서도 대치맘도 긁혔다…이수지가 꼬집은 대리수치 [해시태그]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단독 오세훈, 김종인과 설연휴 회동...金 “대통령 하려면 결단해야”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검찰, 234명 성착취 ‘자경단’ 총책 김녹완 구속 기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71,000
    • -1.49%
    • 이더리움
    • 3,984,000
    • -2.76%
    • 비트코인 캐시
    • 504,000
    • -2.23%
    • 리플
    • 3,668
    • -2.78%
    • 솔라나
    • 297,500
    • -3.72%
    • 에이다
    • 1,173
    • -3.46%
    • 이오스
    • 959
    • -2.24%
    • 트론
    • 365
    • -1.88%
    • 스텔라루멘
    • 481
    • -5.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400
    • -4.12%
    • 체인링크
    • 28,320
    • -4.29%
    • 샌드박스
    • 582
    • -6.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