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비상계엄은 위헌·위법’ 발언 성급했다”
“尹 면회, 무거운 마음…공적 보고 없기에 ‘옥중정치’ 아냐”
“부정선거 주장, 단정할 건 아니다…리뷰는 필요할 듯”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윤석열 대통령이 하야 등 자신의 거취에 관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과 관련해 “그런 부분은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고려하고 있다고 해도 옳은 방법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며 “하야가 법률적·헌법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문제는 별개로 하더라도, 저는 (윤 대통령의 하야가) 문제를 잠재울 수 있지는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12·3 비상계엄에 대해 “분명히 잘못됐다. 과도한 조치”라며 “더불어민주당의 무도한 행태를 감안하더라도 비상계엄으로 대처하는 것 옳지 못한 태도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계엄이 적법하게 선포됐을 경우 헌법기관에 병력을 보내는 것은 맞지만 국회에 보내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국회가 (계엄) 해제요구권을 쥐고 있는 만큼 국회 활동에 제약을 두는 것은 문제”라고 했다.
관련 뉴스
다만 “국회 행동을 제약했는지 안 했는지는 헌법재판소에서 다퉈지고 있는 문제다. 정치인들을 체포하거나 회의를 방해하란 얘기도 그렇다”며 “탄핵을 해야 하는지,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제가 결론 내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의결에 대해서는 “제가 당시에 국회 현장에 있었더라도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 이유로는 “우리 모두가 서로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얘기 못 하는 (계엄 선포) 이유가 뭔지 들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들어보고 반대 입장을 표시할 수 있지만, 아직 이유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조건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은 행동을 한다는 것은 여당으로서 할 행동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저랑 똑같은 정보만 갖고 있었을 텐데, 바로 ‘(비상계엄은) 위헌이고 위법’이라고 얘기한 것은 조금 성급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 면회와 관련해서는 “집무실에서 보던 모습이 아니라 수의를 입고 교도관 입회하에 보는 것이었기에 마음이 좋지 않았다. 무거웠다”고 상황을 회고했다.
그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윤 대통령의 ‘옥중정치’에 대한 지적에는 “옥중정치라고 할 게 없다. 저도 첫날 면회를 갔지만 당의 대표이고 평소 친분도 있는데 가서 얘기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직무 정지된 상황에서 공적인 보고나 논의할 게 없다”고 선을 그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일각의 ‘부정선거’ 주장에 대해서는 “단정할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대통령도 투표 과정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정도라면은 한번 철저한 리뷰(검토)가 필요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대권 출마를 선언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에 대해서는 “우리 보수가 스펙트럼이 넓다”며 “그 안에 들어오고, 우리 당에 대해 지나치게 공격하지 않는다면 누구든지 협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근 탄핵 반대 집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에 대해선 “노사모 출신이고 큰 영향력을 가진 분이 전향하신 부분에는 굉장히 감사하다”고 했다.
아울러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실용주의’를 내세우며 정책 주도권을 가져가는 것과 관련해서는 “야당이 마구 정책을 쏟아내서 그렇게 보이는 건 일정 부분 인정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솔직히 이 대표가 발표한 것 중 무엇이 진짜인지는 모르겠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