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국회·정부 국정협의회와 관련해 "어렵사리 열리는 만큼, 민생·경제 법안 처리와 추가 재정투입 등에 대해 반드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만시지탄(晩時之歎)이지만 첫 만남이 성사돼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대행은 여야 쟁점 중 하나인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해 "반도체특별법에 주 52시간 특례가 포함되면 장시간 노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는 진정성을 갖고 소통하면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간 여·야는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규정을 두고 이견차를 보여왔다. 전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의 처리는 무산됐다.
또 '에너지 3법'에 대해선 "반도체와 AI 산업 발전의 근간이 되는 에너지 3법은 어제 소관 상임위 소위원회를 통과했다. 여야 간 큰 이견이 없는 만큼 하루라도 빨리 처리되기를 기대한다"고 짚었다. 소상공인 지원과 중소기업 투자 부담 경감, 증시 활성화를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에 대해선 "처리를 지체할 이유가 없다"고 부연했다.
관련 뉴스
최 대행은 "정치의 목적은 '민생'이고, 정치의 방법은 '소통'"이라며 "다가오는 '국회․정부 국정협의회'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 국민들에게 조금이라도 희망을 드릴 수 있기를 간절하게 희망한다. 정부는 진심을 다해 여․야 정치권과 대화하고 협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