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코파일럿 등 AI 도구 성장
업무시간 절반 차지 ‘잡일’ 자동화
![▲사진출처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8143741_2137966_800_533.jpg)
전 세계 기업들이 주4일제 근무를 실험 중인 가운데 인공지능(AI)이 이를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CNBC방송이 지난해 18~34세 미국인 1033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 81%가 주4일제 근무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러한 반응은 AI 도구가 근무 환경에서 점차 활용도를 높이고 있는 것과 관련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코파일럿과 같은 AI 도구가 등장하면서 근로자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CNBC는 설명했다.
미국 협업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아사나 산하 워크이노베이션랩의 레베카 힌즈 연구원은 “지식 근로자 업무 시간의 약 53%가 회의 일정 잡기와 업무 조정 등 ‘비지 워크(Busy Work)’에 소모된다”며 “AI는 이러한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비지 워크는 근로자를 바쁘게 하지만 그 자체로는 딱히 가치가 없는 일을 뜻한다.
관련 뉴스
라자루스AI의 켈리 대니얼 이사는 “(AI를 통한 주4일제가) 무조건 된다고 생각한다”며 “AI 모델은 더 똑똑해지고 있다. 직원들의 독특한 경험에 맞게 맞춤화하는 능력이 더 빨라지고 쉽고 저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모든 기업이 AI를 통해 근무시간을 축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조지아 공대의 마크 리들 컴퓨터공학 교수는 “매주 같은 양의 생산성을 갖고 있다고 보자. 그 생산성을 5일이 아닌 4일 안에 해낸다면 정말 좋은 일이다. 집에 가도 된다”며 “그러나 AI가 비지 워크를 맡는 동안 더 의미 있는 업무로 전환해 여전히 많은 일을 해야 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짚었다. 이어 “일부 기업은 더 적은 인력으로 같은 양의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수도 있다”며 고용 측면에서의 문제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