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은 20일 국내 최대 공업 도시 울산에서 '신성장 4.0 민관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조선·해운산업의 초격차 기술인 자율운항 선박의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 마련됐다.
자율운항 선박은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운항시스템에 접목해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개입을 최소화하는 선박으로, 2032년 기준 세계시장 규모가 180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유망 신산업이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K-조선의 약진, 한·미 조선 분야 협력 가능성 증대 등으로 우리 조선·해운산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경쟁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초격차 기술 중 하나인 자율운항선박 분야의 가치사슬을 분석한 후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향후 과제와 업계 애로를 점검했다.
간담회에는 자율운항 소프트웨어와 기자재를 개발하는 업체(HD현대마린솔루션, 마린웍스, 씨드로닉스, 아비커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지노스)와 조선사(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검인증 시험기관(한국선급,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 해운사(팬오션, 한국해운협회) 및 정부출연연구기관(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참석해 기술개발 현황과 경쟁력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관련 뉴스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은 이날 HD현대중공업을 방문해 선박 제작공정 자동화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둘러봤다. 또한 자율운항 선박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설립해 운영 중인 자율운항선박실증센터에서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현황을 듣고 우리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현장의 노력을 살펴봤다.
신상훈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 단장은 "선제적 투자, 국제 표준 선점, 조선·해운 업계 중심 민관협력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자율운항선박 미래 성장동력이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규제혁신과 산업진흥 정책을 통해 우리의 조선산업이 세계 1위 자리를 지켜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