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21일 더 늘려…'발전'과 '수요' 일치

전기가 남아도는 봄철, 정부가 '발전'과 '수요'를 맞추기 위해 발전량 줄이기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봄철 경부하기 발전 과잉에 따른 수급불균형 및 계통 불안정에 대비하기 위해 3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 93일간 '2025년 봄철 경부하기 대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대책은 지난해 3월 23일부터 6월 2일까지 72일간 진행됐던 것과 비교해 3주 빠르고 21일 더 늘렸다.
정부는 안정적인 전력 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발전'과 '수요'의 일치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과거 변화하는 수요에 맞춰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연료 기반의 대형 발전기의 출력을 조절했다.
관련 뉴스
다만, 최근 전원믹스 변화로 전력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소규모 발전원이 늘고 있고, 변동성·경직성 자원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계통 운영에 어려움이 크다.
특히, 봄과 가을은 냉난방 수요가 적어 경부하기(저수요)이나 태양광 발전설비의 이용률은 제일 높아(고발전) 봄·가을철 주말을 중심으로 낮 시간대 발전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과잉이 우려된다.
또한 태양광이 밀집된 일부 지역에서는 발전량이 송전선로 수용용량을 초과하는 국지적 계통 불안정도 걱정스러운 상황이다.
이에 전력당국은 수급불균형, 국지적 계통 불안정이 전력망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2023년 봄부터 대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역대 최장기간 운영할 계획이다.
대책의 주요 내용을 보면 발전량을 감축하기 △석탄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 등을 추진하고, 수요량을 늘리기 위한 △수요자원 활용 △태양광 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 충전 시간 조정 등을 추진한다.
또한 계통 안정화 조치에 대한 이행력을 담보하고, 계통 안전성에 대한 계통 참여자의 책임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마련한다.
이와 함께 출력 제어에 대한 발전사업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출력 제어가 필요하다고 전망되는 경우, 총 3번의 사전안내(전일 18시, 당일 09시, 출력제어 30분 전 등 총 3번의 사전 안내를 진행한다.
정부는 출력 제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경부하기’ 수요 증진을 위한 추가 방안도 대책 기간 중 적극 발굴·시행할 계획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겨울철 대책 기간이 끝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봄철 경부하기 대책 기간이 시작하는 등 연중 상시 비상 체계로 돌입하고 있다"면서 "안정적 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계통에 참여하는 모든 발전원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력당국도 비상대응체계 운영, 계통 안정화 설비 보강 등 시스템 구축·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