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자산운용은 최초로 선보인 국내 타겟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 'KODEX 200타겟 위클리커버드콜 ETF' 순자산이 7영업일 만에 1000억 원 늘어나며 총 순자산 3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는 코스피200을 활용한 국내 최초 타겟커버드콜 ETF로, 연 15% 프리미엄을 목표로 주 단위 콜옵션 매도 비중을 유동적으로 조절해 코스피200지수의 상승에도 일부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연 15% 프리미엄에 코스피200 종목의 배당수익률을 추가해 연간 약 17%의 분배금을 매월 15일 기준으로 지급한다. 실제 지난달과 이달에는 15일을 기준으로 각각 202원, 142원을 지급했고, 배당수익률은 2.05%, 1.44%를 기록했다.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에 대한 자금 유입이 더 빨라지는 이유는 연 17%에 달하는 높은 월중 배당율과 코스피200 지수의 상승에도 부분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 덕이다. 또 해외 주식 또는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고배당 ETF들과 달리 배당 수익의 대부분은 물론 향후 발생하는 별도 시세차익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현금 보유 은퇴자에게 널리 알려진 영향도 크다.
해외 주식형 또는 채권형 상품의 경우 시세 차익은 물론, 이자·배당 소득, 파생상품이익에 대해서도 모두 15.4%에 달하는 배당소득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분배금을 수취하는 투자자들에게는 큰 부담이었다. 특히, 연간 이자·배당 소득 등이 2000만 원 이상이 되면 그 이상의 금융소득에 대해 종합과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일반 계좌를 이용하는 거액투자자 또는 장기투자자들은 해외 자산 연계 월고배당 상품에 투자하는 것을 꺼릴 수밖에 없었다.
관련 뉴스
다만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와 같은 국내 주식형 커버드콜 ETF는 일반 계좌에서 투자할 경우 시세 차익은 물론 콜옵션 프리미엄 수익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분배금 중 포트폴리오 자산의 배당금에 해당하는 비중만 과세되기 때문에 월분배금에 대한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해외 주식형 상품과 달리 탁월한 절세 효과와 안정적인 높은 월분배가 장점인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에 대해 투자자와 증권사 PB분들의 문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국내 주식들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에서 완만한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도 국내 커버드콜 상품에 유리한 만큼 월배당을 선호하는 현금 보유 은퇴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