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과 검찰·경찰 등 수사기관, 금융회사들이 보이스피싱 관련 현장 대응능력 제고를 위한 공동 간담회를 24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금감원 및 동부지방검찰 보이스피싱범죄 정부합동수사단, 경찰청 형사국 인사와 금융협회 및 금융회사 소비자보호 담당 임원 등이 참석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해 9월 249억 원에서 10월 453억 원, 11월 614억 원, 12월 610억 원 등 증가 추세다. 최근에는 카드배송 사칭 수법을 중심으로 고액 피해사례가 지속하고 있어 금감원이 14일 소비자경보 등급을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 발령한 바 있다.
이날 김미영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은 “그간 범정부 차원의 대응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피해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고객과의 접점에서 대응하는 금융사 임직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며 “보이스피싱 범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수사기관과 보다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관련 뉴스
홍완희 동부지방검찰청 정부합동수사단장은 “2022년 합동수사단이 출범한 이래 여러 성과를 거뒀음에도 지난해부터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이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금융권 현장에서 수상한 상황을 포착하면 신속한 수사기관 신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간담회에서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한 삼성증권·기업은행·고양시산림조합·교남동새마을금고 등 금융회사 영업점 직원들이 실제 경험사례를 발표했다.
안찬수 경찰청 형사국 마약조직점죄수사과장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서는 금융권과 경찰 간에 신속한 정보 공유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며 “금융권 예방조치 무력화를 위해 범행 시나리오가 교묘해지는 만큼 금융사에서는 경찰에서 제공하는 의심거래 정보를 활용해 예방조치를 적극적으로 수행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