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트럼프 관세폭탄에 미국에 716조원 투자...역대 최대

입력 2025-02-25 10: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관세 위협에 현지 생산 확대로 방향 튼 듯
AI 연구‧개발, 엔지니어링 등 신규채용도 2만명 약속

▲2019년 3월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2019년 3월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애플이 국내 인공지능(AI) 서버 제조시설 등에 대해 5000억 달러(약 716조 원)를 투자하고, 신규 인력을 2만 명 이상 고용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내 투자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앞으로 4년간 미국에 5000억 달러를 지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투자 대상에는 폭스콘과 함께 휴스턴에 짓고 있는 25만㎡ 규모의 AI 서버 제조시설이 포함된다. 애플은 올 하반기부터 애플 인텔리전스를 지원하는 서버를 미국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또 애리조나주와 오리건주, 아이오와주, 네바다주 등에 있는 데이터센터를 확장하고, 2017년 제조업 일자리 지원을 위한 만든 ‘첨단 제조 기금’을 100억 달러로 두 배 늘릴 예정이다. 미국 내 연구·개발 투자와 부품 공급업체 및 협력업체에 대한 투자도 확대한다. 2만 개의 신규 일자리는 AI 연구&개발과 엔지니어링 등에 집중될 전망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애플은 미국 혁신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이며, 미국의 미래를 위해 5000억 달러를 투자할 수 있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미국 혁신 역사의 새로운 장을 쓸 수 있도록 미국 전역의 기업과 또 사람들과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애플의 투자 계획은 팀 쿡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회동 이후 발표됐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그(팀 쿡)는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애플이 미국 현지 투자를 계획한다는 점을 암시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애플이 아이폰 및 기타 제품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해 지난달 4일부터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계속 되는 상황에서 관세를 회피할 방법을 찾기보다는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데서 방법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애플이 미국에 5000억 달러 규모의 기록적인 투자를 발표했다”며 “애플이 우리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믿음이 없었다면 10센트도 투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은행 지점 찾기 어렵네”…ATM 수도 ‘뚝’ [용두사미 대체점포]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14: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118,000
    • -4.6%
    • 이더리움
    • 3,627,000
    • -8.87%
    • 비트코인 캐시
    • 425,000
    • -8.8%
    • 리플
    • 3,315
    • -9.1%
    • 솔라나
    • 204,100
    • -12.7%
    • 에이다
    • 995
    • -8.38%
    • 이오스
    • 813
    • -10.86%
    • 트론
    • 351
    • -1.4%
    • 스텔라루멘
    • 433
    • -7.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610
    • -7.44%
    • 체인링크
    • 22,000
    • -10.53%
    • 샌드박스
    • 433
    • -11.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