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뮴·폐수 유출 등 '영풍 석포제련소' 폐쇄·이전 국회 토론회 26일 개최

입력 2025-03-25 1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득구·임미애 의원, 환경단체와 국회 토론회…"석포제련소, 카드뮴 등 낙동강 핵심 오염원"

▲올해 6월 19일 대구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 지천 응암천에서 대구환경운동연합 관계자가 녹조로 가득 찬 강물을 조사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뉴시스)
▲올해 6월 19일 대구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 지천 응암천에서 대구환경운동연합 관계자가 녹조로 가득 찬 강물을 조사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뉴시스)

2021년 환경오염과 법 위반으로 조업정지 처벌에 처해졌던 영풍 석포제련소가 이번엔 낙동강 폐수 유출로 또 다시 조업정지에 들어갔다. 낙동강 오염으로 비판을 받아온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정치권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촉구를 위한 토론회가 열린다.

강득구·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환경운동연합, 영풍제련소 주변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는 26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영풍석포제련소 폐쇄·이전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김정수 환경안전건강연구소 소장과 권호장 단국대학교 교수가 영풍 석포제련소 주변 환경 피해 및 원인, 주민 건강피해 구제와 대책 방안 등을 제시한다. 김수동 영풍제련소 주변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상임대표 좌장으로 맹학균 환경부 통합허가제도과 과장,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부산지역 대표, 유종준 충남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윤경효 지속가능센터 이사, 지현영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등이 영풍 석포제련소 환경오염 문제 해결 방안 등을 심도있게 논의한다. 강득구 의원 등 국회관계자들과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도 자리를 함께한다.

영풍 석포제련소의 환경오염 논란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해 중금속 유출로 낙동강 핵심 오염원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인근지역 주민건강과1300만 명에 달하는 영남 주민의 식수인 낙동강 수질을 위협하는 석포제련소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지속됐다.

실제 영풍은 환경오염 문제로 수차례 제재를 받았다. 영풍은 2021년 11월 최초로 열흘간 조업을 중단한 바 있다. 지난해11월에는 황산가스감지기를 끈 채 조업한 사실이 적발돼 조업정지 10일 처분을 추가로 받아 총 68일 조업을 중단했으며 지난해10월에는 카드뮴을 공기 중에 배출하다가 당국의 제재를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낙동강 폐수 유출로‘물환경보전법’을 위반해 지난 달 26일부터 58일간 조업정지 중이다.

앞서 장형진 영풍 고문은 지난해 10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카드뮴 유출 등으로 인한 낙동강 오염은 물론 중대재해로 노동자들이 사망한 것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여야 의원들의 비판이 쏟아진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327,000
    • +2.7%
    • 이더리움
    • 2,834,000
    • +4.04%
    • 비트코인 캐시
    • 458,100
    • +1.24%
    • 리플
    • 3,165
    • +1.44%
    • 솔라나
    • 187,300
    • +0.11%
    • 에이다
    • 1,007
    • +2.86%
    • 이오스
    • 1,012
    • +10%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404
    • +2.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520
    • +0.7%
    • 체인링크
    • 21,000
    • +3.7%
    • 샌드박스
    • 408
    • +0.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