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64조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 국익만 본 '심사숙고'가 필요하다

입력 2025-03-2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노승길 정치경제부 기자
▲노승길 정치경제부 기자

"수익성이 좋았다면 미국의 수많은 메이저 기업들이 이미 투자했겠지 다른 나라에 투자를 요청하겠어요?"

지난달 초 일본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 의향을 밝힌 직후, 국내 한 투자 전문가가 기자에게 처음으로 뱉은 말이다. 그는 기업인이라면 사업의 안정성과 경제성, 향후 정책 변동성까지 고려했을 때 이 프로젝트는 손대면 안 되는 사업에 가깝다고 말했다.

실제로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엑손모빌조차 경제성 등을 이유로 개발을 포기한 바 있다.

하지만, 돌아가는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일본이 참여 의향을 밝히며 트럼프의 환심을 산 데 이어 최근 대만은 한발 더 나아가 구매·투자의향서를 체결하며 참여를 공식화했다.

한국도 참여를 심각하게 고민 중이다.

알래스카 LNG 사업 세일즈를 위해 한국을 찾은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정부 측 인사를 만나 투자 협의를 논의했다. 정부는 자료 등을 통해 '협력 강화' 등을 언급하며 우호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알래스카 프로젝트의 알려진 장단점은 명확하다.

미국산 LNG 수입을 늘려 한미 무역수지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고, 에너지 도입선을 다변화해 에너지 안보도 강화할 수 있으며, 짧은 거리로 운송비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하게 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올라타 동맹국의 지위를 강화할 수 있다.

반면, 64조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투자비와 혹독한 개발 환경, 미국의 정치적 요인과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경제성만 놓고 보면 엑손모빌의 선택이 맞을 수도 있지만, 한국은 미국과의 관계에서 강력한 협상 카드가 생기는 것만으로도 고민을 해볼 만하다.

현대차그룹의 31조 원 미국 투자 결정이 정의선 회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핑크빛 투샷을 이끌어낸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기업이 아니다. 돈만 놓고 따질 수 없다는 의미다. 미국의 관세 압박이 '몽니'라고 치부할 수 있지만 안보 우려 등도 현실이다.

정부가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심사숙고(深思熟考)'다. 참여 여부에 대한 심사숙고에 더해 참여를 결정한다면 얼마만큼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심사숙고가 절실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AGV’가 부품 95% 배달…미래 모빌리티의 요람 ‘HMGMA’
  • '연금 사수' 앞장서는 86세대, 실상은 '가장 부유한 세대'
  • 213시간 만에 잡힌 산청 산불...경북 재발화 우려에 주민대피령
  • ‘정산지연’ 명품 플랫폼 발란, 결제서비스 잠정 중단
  • 박찬대 “내달 1일까지 마은혁 미임명 시 중대 결심”
  • '그알' 교사 명재완, 왜 하늘이를 죽였나…반복된 우울증 '이것'일 가능성 높아
  • 지드래곤 측, 콘서트 70여분 지연에 재차 사과…"돌풍에 의한 안전상 이유"
  • 창원NC파크서 '구조물 추락 사고'…관람객 1명 중환자실 치료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04,000
    • +0.09%
    • 이더리움
    • 2,754,000
    • -1.22%
    • 비트코인 캐시
    • 459,400
    • +0.9%
    • 리플
    • 3,261
    • +4.12%
    • 솔라나
    • 188,200
    • -0.05%
    • 에이다
    • 1,020
    • +0.79%
    • 이오스
    • 877
    • +5.66%
    • 트론
    • 345
    • -1.15%
    • 스텔라루멘
    • 405
    • +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080
    • -0.15%
    • 체인링크
    • 20,650
    • +0.05%
    • 샌드박스
    • 412
    • +0.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