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미국 ‘자동차 관세’에 즉각 유감 표명 “협상으로 해결해야”

입력 2025-03-27 08: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백악관 관세발표 직후 유감 표명
260억 유로 상당 보복관세 유예
보복관세 맞대응 대신 협상 촉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의 수입 자동차 25% 관세 발표 직후 즉각 반발하며 유감을 표명했다. 다만 앞서 예고했던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보복관세 대신 협상을 통한 해결을 촉구했다.  (출처 EU집행위원회)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의 수입 자동차 25% 관세 발표 직후 즉각 반발하며 유감을 표명했다. 다만 앞서 예고했던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보복관세 대신 협상을 통한 해결을 촉구했다. (출처 EU집행위원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내달 2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하자 유럽연합(EU)이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다만 보복관세를 앞세운 맞대응 대신 협상을 통한 해결책 모색을 촉구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백악관의 관세 발표 직후 성명을 내고 “미국이 유럽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에 심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자동차 산업은 대서양 양쪽에 깊숙이 통합된 공급망을 통해 높은 수준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원동력”이라며 “EU는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는 한편 협상을 통한 해결책을 계속 모색하겠다”고 강조했했다. 직접적인 보복관세 대신 협상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EU는 미국의 철강과 알루미늄 2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내달 1일과 13일 두 단계에 걸쳐 총 260억 유로(약 41조 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고 예고했었다. 그러나 20일 1단계 조처 시행을 돌연 연기했다. 협상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EU 집행위 내부의 주장을 일부 받아들인 셈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관세 대상을 명확히 밝혔다. 그는 ‘상호관세가 모든 나라 대상인지 아니면 최악의 국가만 대상인지’를 묻는 말에 “모든 국가”라고 단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가 수십 년 사이 미국에 부과했던 것보다 낮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매우 공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韓대행, 상법개정안에 거부권 행사..."주주 보호 역행·국가경제 부정적"
  • 4월 물가상승 죽음의 달...버거마저 올라 서민 한끼 ‘난감’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 유래는?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15: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140,000
    • +0.82%
    • 이더리움
    • 2,734,000
    • +1.71%
    • 비트코인 캐시
    • 455,700
    • +2.82%
    • 리플
    • 3,112
    • -0.06%
    • 솔라나
    • 186,700
    • -0.37%
    • 에이다
    • 994
    • +1.53%
    • 이오스
    • 1,045
    • +19.43%
    • 트론
    • 351
    • +1.45%
    • 스텔라루멘
    • 39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030
    • +2.1%
    • 체인링크
    • 20,240
    • +2.17%
    • 샌드박스
    • 406
    • +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