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식품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식품에 표시된 유통기한, 제조년월일, 품질유지기간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13일 식약청에 따르면 제조ㆍ가공ㆍ소분ㆍ수입한 식품 등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모든 식품의 경우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인 유통기한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또 장기간 보관해도 부패의 우려가 적은 통조림식품·쨈류·장류·김치류·젓갈류·절임식품 등은 유통기한 대신 '품질유지기간'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품질유지기간이란 식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존방법이나 기준에 따라 보관할 경우 해당식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기한으로 식품회사가 자율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수입식품은 소비기한(expiration date or use by date, 식품을 소비할 수 있는 최종일), 품질유지기한(best before date, 식품이 최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종일), 유통기한(sell by date, 식품을 판매할 수 있는 최종일) 등으로 표시돼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영업자가 유통기한을 과학적 근거에 따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식품의 유통기한 설정 기준'을 운영하고 있다"며 "식품을 구매하기 전 유통기한, 제조년월일 등이 담긴 표시정보를 확인하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