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운태 민주당 의원은 13일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감세효과 거의 없고 우리 사회 양극화 현상은 시정되기 어려운 상황에 들어갔다"면서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일자리 궁핍의 문제인데 정부의 의지가 있는지 궁금하다"고 질타했다.
강 의원은 "대한민국 경제의 연간 적정한 일자리는 대략 30만개 내외"라면서 "그런데 경제관료들은 우리나라 실업률 3%대고 선진국은 7%가까운 나라도 있다, 이 정도면 양호한것 아니냐"고 자랑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심지어 대통령도 선진국은 10%가 넘는다고 자신있게 말하더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우리나라 고용률이 OECD평균보다 낮다"면서 "취업준비생이야 말로 당연히 실업자인데 우리나라만 슬그머니 끼워 넣는다, 대통령을 위시해서 많은 경제 관료들이 착시 현상에 빠져있다"고 토로했다.
강 의원은 우리 경제가 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서 일자리를 통한 신성장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의원은 연간 30만개를 만들고 거기에 94만개를 더 만들어야 겨우OECD평균에 도달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단기성 일자리도 지양해야 한다"면서 "희망근로 때문에 식당에서 일할 사람을 못구하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희망근로에 국가 재정을 쏟아붙는 것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것"이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고용통계도 재정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우리나라의 사실상 실업자는 취업준비생과 취업단념자들을 모두 포함해 317만 9000명이 실제 실직자"라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고용통계를 네단계 정도로 구분해서 재정비 할 필요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윤증현 장관은 "의원께서 지금 정책대안으로 제시하신것 보니까 정부가 거의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정부도 일자리 창출에 고민하고 있다, 최대의 복지는 일자리 창출이라는 점을 공감한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정부는 어떻게 하면 단시간에 경기회복을 이뤄낼 것인가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작년과 올해 두자리 취업자수는 전세계에 우리나라밖에 없다"고 자신했다.
윤 장관은 "양질의 좋은 일자리는 민간부분에서 창출하는 것이지 정부가 계속 나설 수는 없다"면서 "현재도 정부는 비실업자를 고용할 때 세제와 고용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희망근로에 대한 지적에도 윤 장관은 "희망근로같은 단기성 일자리는 민간부분의 일자리가 늘어나지 않으니까 정부가 그 간극을 매우고 있는 것"이라면서 "정부도 희망근로가 근본적으로 일자리를 대신 할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일자리가 늘어나면 희망근로도 없앨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