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기간중에 소강상태에 들어갔던 검찰의 군납 비리사건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한 수사 결과를 29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인프라코어는 해군 고속정 엔진을 납품하면서 가격을 부풀리는 등의 방법으로 8억원의 부당 이익을 올린 혐의로 검찰의 수사가 진행중이다.
두산인프라코어 관계자는 "이미 수사가 진행중인 사항"이라면서 "(새로운 근거가 나와) 수사 속도가 높아진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재계 한편에서는 군납 비리를 앞세운 검찰의 전방위적인 수사가 경기회복 조짐이 보이면서 기업 수사가 경제를 망칠 수 있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 프렌들리라는 정부의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산업효율화를 위해 대기업이라도 비리가 있으면 철저히 수사를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공감대를 얻고 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다.
하지만 재계 일각에서는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한 압수수색 등 검찰의 군납 비리 수사가 시작된 시점이 대통령이 친서민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것과 맞물렸다는 점에서, 반기업 정서가 확산 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출구전략을 시행에 머뭇거리는 현 정부가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한 군불때기라는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