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태블릿 PC와 내비개이션에 자동으로 주소록이 저장되고 노트북으로 작성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IPTV로 불러오는등 다양한 IT기기간 상호 호환이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7일 다양한 IT기기간 콘텐츠를 공유하고 통합관리 할 수 있는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이하 PCC Personal Cloud Computing) 서비스를 산학 협력을 통해 공동개발, 하반기에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PCC서비스가 도입되면 이용자가 사진, 동영상, 주소록등 다양한 콘텐츠를 하나의 인터넷 서버에 저장하고 스마트폰, 태블릿PC등 인터넷이 가능한 IT기기에서 자유롭게 꺼내 쓸 수 있다.
또 IT기기별로 콘텐츠를 이동·복사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자동 동기화를 통해 IT기기간 콘텐츠 공유가 실시간으로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앞으로 영화파일을 서버에 한 번만 저장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IT기기에서 편리하게 불러와 시청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화면해상도, 운영체제(OS), 정보처리속도등 성능이 제각각인 IT기기 특성을 고려해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IT기기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는 기술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 개발해 서비스의 유용성을 극대화 시킬 예정이다.
이와 함께 PCC서비스를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ETRI, KAIST, 벤처기업(넥스알, 나눔기술)등과 개방형 기술혁신(Open Innovation) 방식으로 향후 4년간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해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육성할 계획이다.
한편 PCC서비스의 기본 플랫폼, 소프트웨어, 스토리지시스템 개발을 통해 올해 하반기에 1차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오는 2013년 157억 달러(약 18조원) 규모로 예상되는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 임종태 네트워크기술원장은 “멀티 디바이스 간 콘텐츠 공유 장벽이 사라진다면 향후 기업에서도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협업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며 “산업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