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간이 1:1로 매칭 총 900억을 투자해 3대 소재연구소에 분야별 Test-bed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식경제부는 앞으로 3년간(2010~2012) 정부와 민간이 1:1로 매칭 총 900억을 투자해 3대 소재연구소에 분야별(금속ㆍ화학ㆍ세라믹) Test-bed를 구축한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그동안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도 양산화를 위한 Test-bed를 확보하지 못해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어온 중소 소재기업들의 불편이 크게 해소되고 사업화를 전제로 한 소재업계의 신소재 개발 연구가 한층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분야 Test-bed 구축은 오랜 기간 논의돼온 소재업계의 숙원 사항으로 소재산업 특성상 대량 생산 이전에 양산화 가능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Test-bed를 구축해 양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발견ㆍ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국내 소재기업이 대부분 중소기업(98.3%)인 관계로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는 Test-bed를 개별적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다수 중소 소재기업들은 Test-bed를 보유한 국내 대기업이나 해외기관에 의뢰해 양산화 가능성 테스트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테스트 시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또한 테스트 기관의 관심이 없거나 관계 없는 분야의 경우 테스트 자체가 불가능해 사업화 시기를 늦추거나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정부의 추진계획 따르면 많은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타겟' 공정을 선정해 3대 연구소에 동시 구축한다.
특히 기존 장비구축사업과 차별화해 소재 양산화 공정에 특화된 일괄 공정라인을 구축해 연구소별 구축 규모, 세부공정등은 종합평가를 통해 결정된다.
또한 3대 소재 연구소별로 컨소시엄을 구성(소재-수요-장비기업 참여)해 Test-bed 운영(구축장비, 전담인력, 구성원간 매칭비율 등 결정)한다.
총 투자금액 900억 중 정부 출연금(450억)은 주로 장비구축에 소요되며 민간 출연금(450억)은 주로 운영에 필요한 현물부담, 전문인력 인건비, 임차비등에 소요된다.
대부분의 참여업체가 중소기업으로 투자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3대 소재 연구소의 시설과 장비, 인력등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에 구축되는 Test-bed를 기존의 국내 소재관련 인프라와 연계해 '소재종합센터'로 확대ㆍ운영할 계획이다. 올해 7월부터 구축해 2013년 6월 최종 구축 완료된다.
지경부 관계자는 "소재연구소 내 실험.분석장비, 소재정보은행, 신뢰성센터등에 Test-bed가 더해져 소재개발에서 사업화까지 전주기에 걸친 종합지원이 가능할 것"이라며 "향후 센터의 기능을 Test-bed 구축 분야에 우선 집중해 소재개발에서 사업화까지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달성톨고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