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동안 갈치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도매가가 2만원에 육박했다.
10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갈치(중품 기준) 도매가는 1kg에 1만9500원으로 작년 가격인 1만5980원보다 22%, 평년 가격인 1만1593원보다 68%나 폭등했다. 갈치(1kg) 도매가가 1만9000원을 넘어선 것은 10년래 최고치다.
냉동갈치(중품)도 1㎏에 1만2900원으로 평년의 8467원에 비해 52.3%나 가격이 올랐다.
갈치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이유는 주산지인 제주도 인근 수역의 해수온도 변화로 인해 어획량이 지난해보다 20% 가량 하락했다. 갈치는 난류성 어종인데 최근 제주 인근 해수온도가 평년에 비헤 2~3도 정도 낮아져 어장형성이 되지 않았다고 aT는 분석했다.
일부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던 중국, 일본 등 수입산 갈치가 부족한 것도 가격 급등세의 한 원인이다. aT 유통정보과 김남규 차장은 “국내 수입산의 대부분은 일본과 중국산인데 일본은 원전사고 이후 수입량이 급격히 줄었고 중국산도 우리나라의 서해상에서 어획을 하는데 해수변화 때문에 갈치가 잡히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갈치값 폭등에는 소비자들의 선호도도 작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국내 연안에서는 크기가 작은 갈치는 잡히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구매를 꺼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남규 차장은 “식탁에 자주 오르는 생선 중 하나인 갈치는 크고 살이 많아야 반찬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소비자들이 생각하기 때문에 작은 갈치는 잘 사지 않고 있다”면 “결국 이 점도 공급량 부족의 한 원인이 돼 갈치값 상승에 주 요인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관세청 조사에 따르면 올해 10월 냉동 수입갈치(1kg)의 단가는 지난 9월보다 8.7%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