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전자금융거래 시스템을 전면 점검한다.
권혁세 금감원장은 29일 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조찬강연회에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등을 통한 전자금융거래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며 “이와 동시에 전자금융거래를 이용한 금융범죄가 늘고 수법도 교묘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권 원장은 “금융회사들이 종전의 시스템에서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는지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한다”며 “금감원도 이 부분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권 원장은 특히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들을 향해 “신속한 영업과 서비스도 좋지만, 고객재산 관리가 더 소중하다”며 정보보안과 금융범죄 예방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촉구했다.
권 원장은 체크카드 사용을 활성화하는 게 가계부채 문제와 가맹점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모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피력하면서 “금융위원회가 조만간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는 “감독당국 입장에선 그동안 신용카드의 무분별한 발급이 많았다”며 “앞으로 신용카드 발급을 까다롭게 해 발급 자격이 없는 분은 체크카드를 활용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카드사들이 체크카드 서비스를 축소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선 “영업전략일 수도 있지만, 체크카드만 서비스를 줄이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비용 분석을 엄격히 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학생의 고금리 대출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는 "200억원을 마련한 생명보험협회와 마찬가지로 은행권 등에서도 사회공헌기금 가운데 일부를 대학생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 대출로 갈아타게 해주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부문과 금융회사가 대학생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직장"이라며 "채용을 많이 늘리는 것보다 더 좋은 사회공헌이 없는 것 같다. 금융권이 내년에 채용을 많이 늘려서 젊은 사람에게 희망을 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