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 대출 부실이 미국 경제의 새로운 뇌관이 됐다고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학자금 대출은 1조달러(약 1142조원)를 돌파했다.
이와 관련된 세부 내용은 오는 21일 발표된다.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는 학자금 대출 규모를 8700억달러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추가 조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투자기관 바클레이스가 연준과 교육부의 교육통계센터(NCES) 자료를 종합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학자금 대출은 5830억달러 증가했다.
이는 4310억달러에 이르는 정부의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보다 많은 것이다.
지난 2009년 시점에서 졸업생의 학자금 대출 채무불이행(디폴트) 비율은 3.7%, 중퇴자는 16.8%였다.
졸업 이후 소득이 생긴 사람들의 상환율이 더 높은 셈이다.
2011년 3분기 기준 대출을 꾸준히 상환하는 대출자는 전체의 절반 정도였다.
대출자의 47%는 수강 중이거나 상환을 미뤘다.
바클레이스는 취약한 고용시장 현황과 늘어나는 중퇴자 비율이 디폴트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령별로는 총 학자금 대출 잔액의 15.5%를 50대가 차지했으며 60대 이상도 4.2%를 기록했다.
은퇴자가 포함된 가구의 교육 관련 대출은 2007년과 2009년 사이 62% 증가했다.
바클레이스는 학자금 대출 추이를 감안할 때 미국 정부가 향후 10년간 650억달러 규모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부터 2020년까지 소득기준상환(IBR) 프로그램을 통한 비용만 1900억달러가 될 전망이다.
바클레이스는 학자금 대출과 관련된 부실이 미국 경제의 주요 이슈로 아직 떠오르지 않았지만 정부가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바클레이스는 현재 저금리 기조도 학자금 대출 부실에 따른 재정부담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