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사회통합 과제를 점검하는 자리가 KDI(한국개발연구원)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공동 주최로 마련됐다. 정책적인 차원에서도 조화로운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우리 정부의 구체적인 역할을 제시하게 될 전망이다.
KDI와 OECD는 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한국의 사회정책 과제’ 공동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과 신제윤 기획재정부 차관을 비롯해 현오석 KDI 원장을 비롯한 관련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컨퍼런스에 참석한 OECD와 KDI 전문가들은 △한국의 주요 사회정책 과제 △소득분배와 복지제도 개선 △노동시장 정책과제 △영·유아 보육과 교육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의료정책 방향 등 5개의 세션에 걸쳐 발표와 토론을 하게 된다.
신 차관은 이날 축사에서 “압축성장 과정에서 파생된 여러 갈등과 분열이 장애물이 돼 우리 앞길을 가로막고 있다”며 “이번 컨퍼런스가 우리나라와 국제사회의 가장 중요한 도전이자 화두로 떠오른 사회통합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 차관은 이후의 사회통합 정책 방향에 대해 “중장기적 과제인 사회통합과 복지증진을 위해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대증요법보다는 긴 호흡으로 체질을 착실히 개선해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정착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