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가 '대체휴일제'를 도입하는 등 제도개선을 통해 여가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팔을 걷어붙인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1일 발표한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서 대체휴일제, 방학분산제 도입 등 여가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대체휴일제는 공휴일과 주말이 겹치면 평일 중 하루를 더 쉬도록 하는 것이다. 방학분산제는 여름·겨울에 몰려 있는 학생들의 방학을 봄·가을로 분산하는 제도다.
새정부는 국민의 풍요로운 여가생활을 보장하고 국내 관광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에서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이와 함께 "올해의 문화관광도시를 선정, 홍보마케팅·안내 체계를 집중 지원하며 한국형 근로자 여행장려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하는 등 국내 관광 활성화에 적극 나서겠다"고도 했다.
이 일환으로 올해부터 관광종사원 취업박람회를 개최하며, 표준용역계약서를 제정해 보급할 방침이다. 관광통역안내사 공제회 설립지원 등 근로여건 개선에도 나선다.
대체휴일제가 도입되는 등 제도가 개선되면 여행산업 발전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국민 중 80%는 대체휴일제가 도입되면 관광이나 자기개발 등 추가활동에 평균 34만원가량을 더 쓰겠다고 응답했다.
새정부의 대체휴일제 도입과 관련, 일각에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한 기업 관계자는 "휴일은 생산성과 그대로 연결되는 문제인 만큼 결국에는 기업에 부담만 안겨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