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시장이 전세에서 월세 및 반전세로 바뀌면서 세입자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세입자의 부담을 줄여 줄 현실적 방안은 없을까.
이에 부동산 전문가들은 자금 지원, 정부 재정 확충, 싼 곳으로 이사, 공급량 늘리기, 싼 임대물량 공급, 계층에 따른 차별 정책 등 각기 다른 방안을 제시했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연구팀장은 “월세와 관련해서는 자금 지원이 최선책이다. 그러나 전세든 월세든 재원 부족이 문제”라고 말했다.
정 팀장은 “서울시가 추진하려 했던 주택 바우처 도입도 결국 예산 부족으로 인해 흐지부지됐다”면서 “정부나 지자체가 내놓은 구상이나 계획은 좋은데 실행하는 데 있어 돈이 부족해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전문가는 다른 물량으로 눈을 돌리라고 조언했다.
장재현 부동산뱅크 비즈니스콘텐츠팀장은 “(도심 물량이 부담된다면) 싼 곳으로 옮기는 방안밖에 없다. 아파트, 오피스텔보다 가격이 싼 빌라나 단독주택, 다가구로 옮기는 것도 생각해 볼 만하다”고 밝혔다.
빌라는 방이 2개든 3개든 원룸 가격으로 들어갈 수 있다. 다가구나 단독도 서울의 아파트나 오피스텔보다 비용 측면에서 부담이 적다.
그러나 이들 물량은 주변 인프라가 뒤처지기 때문에 이주 시 꼼꼼히 잘 따져봐야 한다.
장 팀장은 또 “공급을 늘려야 한다. 재건축재개발을 통해 주택을 확보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추천했다.
그는 이어 대출을 통해 세입자 금융지원을 조금씩 늘리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직접적인 비용지원은 형평성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면서 “정부나 지자체에서 싸게 물량을 공급하게 하는 등의 대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계층에 따라 지원 혜택을 주는 것도 좋다. 저소득층에 보조를 해주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