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참사 피해자와 가족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 모임(가피모)'과 시민단체 '가습기살균제참사 전국네트워크(가습기참사넷)'는 1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는 지난해 검찰 수사와 불매운동, 국회 첫 국정조사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SK케미칼과 애경, 이마트에 대한 수사 진행을 촉구했다.
15일 서울시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과 환경운동연합·환경보건시민센터 등 관련 환경·시민단체 관계자 등 20여명은 기자회견을 열어 “클로로메탈이소티아졸리논(CMIT)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판매한 SK케미칼과 애경, 이마트도 수사를
가습기살균제 사건 피해자들이 피해 보상 활동을 체계화하고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방지하는 사회적 활동을 펼칠 목적으로 피해자 모임의 법인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가피모)은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법인 창립 총회를 열고 "피해 보상과 권리 구제에 적극적으로 임하려면 모임을 안정화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모임은 창립선
정부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를 받지 않아 민간 차원에서 접수한 결과, 피해자가 500여명 넘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ㆍ환경보건시민센터ㆍ더불어민주당 장하나 의원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의 자체 피해 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환경부가 작년 12월 피해자 신고를 마감하고 접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은 ‘가습기살균제 특별법’ 제정 등 피해대책 및 재발방지 대책 10가지 요구안을 발표했다.
가피모는 △가습기살균제 특별법 △진상규명 청문회 및 국정조사 △국회 가습기살균제 특별위원회 △정부·가해기업의 사과 △대통령 직속 가습기살균제 특별대책 기구 설치 △윤성규 환경부 장관 해임 △특별법에 근거한 피해대책기금 조성 △징벌적
시민단체와 가습기살균제 사건 피해자들이 윤성규 환경부 장관의 해임을 촉구하는 1인시위를 진행한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 회원, 다른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16일부터 매일 낮 12시∼오후 1시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정부에 윤 장관 해임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윤 장관이 최근
환경단체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이 윤성규 환경부 장관의 해임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1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윤 장관이 책임을 통감한다면서도 직접 사과를 하지 않은데 따른 것이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 등은 13일 정오 정부서울청사 후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가습기살균제 사건의 주무장관인 윤 장관이 정부 책임을
환경단체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이 편의점 업계에 옥시 제품을 철수시킬 것을 촉구했다.
7일 환경운동연합과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에 따르면 서울 종로구 안국동사거리 GS25종로인사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에 옥시 제품을 철수시키고 살균제 생산ㆍ판매 전력을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서 이들은 “대형마트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가피모)은 3일 오전 서울대학교를 방문해 옥시레킷벤키저(옥시)로부터 가습기 살균제 독성 실험을 의뢰받아 연구보고서를 작성한 교수들을 처벌하라는 내용의 항의서한문을 전달했다.
가피모는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옥시에게서 연구 용역을 받은 대학 연구진들이 보고서를 은폐, 조작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며 "전문성과 학문의 양심을 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