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혜의 자원을 지닌 검은 대륙 아프리카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선진국의 자본과 기술력이 앞다퉈 투입되면서 세계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급부상 중이다.
높은 경제성장률과 인구증가율, 풍부한 자원은 매력적인 강점으로 꼽힌다. 지금 아프리카는 마블스튜디오 영화 ‘블랙팬서’에 등장하는 가상국가 와칸다처럼 풍요로운 미래를 기대하고 있다.
31일
[카드뉴스 팡팡] 아프리카 선수들의 평창올림픽 도전
제 2의 ‘쿨러닝’ 스타는?
‘쿨러닝’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이 열렸던 해남자 봅슬레이에 출전한 자메이카 팀의 실제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일 년 내내 눈구경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검은 대륙’의 동계 스포츠 도전.
아프리카 국가들의 동계스포츠 도전기와
최근 내수 부진을 겪고 있는 국내 경제는 건설업이 떠받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그동안 대형건설사들을 중심으로 든든한 캐시카우(Cash Cow) 역할을 하던 해외건설이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업계가 고민에 빠졌다. 이에 최근 건설사들이 그동안 수주 텃밭으로 불리던 중동 일변도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새로운 수익원 찾기에 나서
유통업계가 ‘검은 대륙’ 아프리카 시장에 진출하며 신대륙을 개척하고 있다. 높은 성장 잠재력과 인구 증가율로 세계 경제의 마지막 성장엔진으로 불리고 있는 아프리카로 판로를 확대해 새로운 소비시장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롯데제과는 아프리카 과자시장에 진출한다. 롯데제과는 케냐 수도 나이로비에 사무소를 열고 영업활동에 나선다고 밝혔
대우건설은 최근 동아프리카의 중심 에티오피아에서 총 8200만 달러 규모의 고속도로 건설공사를 단독 수주했다. 국내 건설사가 올해 아프리카에서 따낸 첫 사업이자 에티오피아 시장 진출의 첫 사례다.
미개척 시장인 아프리카에 일찍부터 진출해 검은 대륙의 강자로 자리잡은 대우건설은 올해도 아프리카에서 첫 수주 낭보를 전하며 이 지역의 진출 가능성을 더 확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 사업지 확장은 2015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중동과 동남아 등 기존 아시아 시장을 거점으로 삼아 아프리카와 중남미 쪽으로 영토 다각화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사업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익모델을 개발하고 이윤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신흥국 사업 2015년에도 쭈욱~ =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우리 건설 기업들의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 정국불안, 상품시장 약세 등 최근 아프리카 경제를 둘러싼 악재가 잇달아 터지고 있지만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의 인수ㆍ합병(M&A) 시장 열기는 식을 줄 모르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대다수의 투자자가 최근 발생한 여러 가지 악재는 일시적인 것으로 판단, ‘검은대륙’의 장기적 성장 전망에 베팅
국내 건설업계가 해외 사업지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 중동과 동남아 등 아시아 위주로 한정돼 있던 해외건설 현장이 신흥 개척지인 중남미와 아프리카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중남미의 경우 ‘기회의 땅’으로 여겨지며 올해 수주액과 계약건도 눈에 띄게 늘었다. 또한 아프리카에도 눈을 돌리는 건설사들이 생기면서 첫 삽을 뜨게 되는 사업장도 생기고
아프리카 대륙이 올 들어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인 보코하람의 테러와 에볼라 전염병 창궐 등으로 휘청거리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고성장이 이어져 아시아와 자웅을 겨룰 수 있게 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꺼지지 않고 있다고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나이지리아에서 보코하람은 지난 5년간 각종 테러를 저질렀으며 이웃국가인 카
아프리카로 향하는 글로벌 투자자금이 올해 역대 최고를 기록할 전망이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유엔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9일(현지시간) 공동으로 내놓은 연간 경제보고서에서 아프리카 경제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보고서는 올해 글로벌 민간 부문의 아프리카 투자 규모가 843억 달러(약 86조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의 공장’ 중국이 검은대륙 아프리카를 새 생산기지로 삼고 있다.
최근 중국 기업들이 자국 내 인건비 상승에 대처하고 아프리카 진출에 대한 현지 주민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자 아프리카에 공장을 짓고 더 많은 현지인을 고용하고 있다고 1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중국 제일자동차(FAW)그룹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엘리자베
대우건설은 지난 2월 11일 11억3500만 달러 규모의 쿠웨이트 클린 퓨얼 프로젝트 공사를 수주함으로써 해외건설 누적 수주 505억9700만 달러를 달성했다.
국내 건설사 중 두 번째로 해외 누적 수주 500억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특히 종전 기록을 3년 단축한 최단기간 달성 신기록을 세우며 대한민국 해외건설사를 다시 썼다. 1976년 에콰도르의 키
나이지리아 경제가 미친 질주를 계속한 끝에 드디어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치고 검은 대륙 최대 경제국에 등극했다고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나이지리아 국가통계국(NBS)은 전날 나이지리아 국내총생산(GDP)이 지난해 4910억 달러(약 516조2374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2배로 성장한 것이다. 앞서 세계은행(WB)은 지
검은 대륙 아프리카가 신흥 투자처로 금융투자업계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관련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의 경우 연초직후 무려 40%가 넘는 대박 수익을 거둔 한편, 글로벌 투자 큰손 사모펀드(PEF)들도 잇달아 아프리카 투자를 확대하는 추세다.
실제 글로벌 PEF인 칼라일그룹과 블랙스톤, KKR, 파인브리지인베스트먼트 등 다양한 투자펀드들이 아프리카시장에
세계은행(WB)이 아프리카 경제에 긍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WB는 7일(현지시간) 발표한 반기 경제보고서에서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각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5.1%에서 5.3%로 상향 조정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4월의 4.9%를 유지했다.
2015년 성장률 전망치는 6개월 전의 5.2%
포스코가 아프리카에 철강 및 해양플랜트 분야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전수한다.
포스코는 지난 23일 카메룬 정부의 숙원사업인 철강업 개발과 해양플랜트 분야 협력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포스코는 카메룬 정부와 서아프리카 철강시장에 적합한 철강사업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카메룬은 철강업의 주원료인 철광석 50억 톤 매장과 환원
일본이 세계 최대 성장 시장인 아프리카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주요국들이 막대한 개발원조로 아프리카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일본의 아프리카 공략은 더욱 공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일본은 아프리카에 퍼지고 있는 반중(反中) 정서로 중국이 고전하는 틈을 타 외교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요코하마에
해외에서 한통의 낭보가 전해졌다. 국내 건설사가 중남미 시장에서 총 88억달러(한화 약 10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공사를 따냈다는 소식이었다.
정부와 업계는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88억달러 규모는 역대 세번째 규모이기 때문이다. 올 들어 지난 1분기까지 해외건설 수주가 신통치 않았다는 점에 비춰볼 때 이번 수주는 해외 진출 사상 최고의 쾌거 라는 평가
‘아프리카 시장을 잡아라.’
국내 주요 전자업체들이 신흥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아프리카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 LG전자 등은 유럽 및 북미시장에서 진행 중인 ‘제품’위주 마케팅 뿐 아니라 인재육성 및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브랜드 알리기에 한창이다.
◇아프리카시장,‘이미지 마케팅’부터=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해부터 2015년 사이
국내 주요기업들이 검은 대륙 아프리카에서 새로운 성장기회를 모색한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은 오는 3월 현지 시장 및 업 점검을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한 아프리카 지역 방문에 나선다.
이에 앞서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지난달 카메룬 짐바브웨 등 아프리카 4개국을 방문, 철광산 공동개발 등 자원개발 공동추진 등 사업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