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가 올해 다수의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 결과를 공개한다. 이에 따른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수령해 안정적인 매출 확보가 기대된다. 조 단위 기술이전도 예고한 만큼 이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1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가 2018년 컴퍼스 테라퓨틱스에 기술수출한 담도암 치료제 ‘A
미국과 중국 등 특정 국가의 원어민 교사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으며, 연구원 관련 요건을 충족하는 외국인 기술자는 10년간 발생한 근로소득에 대해 소득세의 50%를 감면받을 수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는 19%의 단일세율 특례 적용과 종합소득세 기본세율 중에서 선택도 가능하다.
국세청은 영문 안내책자와 유튜브 동영상, 외국어
◇ 세아메카닉스
전자 및 자동차향 부품 생산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업체
2024년 영업이익 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 전망
내년 상반기 생산설비 증설분에 대한 본격적인 매출 인식 시점은 2025년
남궁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
◇ 오로스테크노놀로지
올해 부진한 업황에도 매출액 408억 원, 영업이익 11억 원 등 최대 매출, 흑자전환
키움증권은 7일 종근당에 대해 오랜시간 R&D 투자 대비 성과가 없다는 점이 주가 할인 요소로 작용했으나, 자체 개발한 최상급 HDAC6 억제제인 CKD-510을 노바티스에 기술계약 체결하면서 이번 계약으로 R&D 재평가가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아웃퍼폼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1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36.36%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유진그룹 계열사인 동양은 캐나다 카본큐어(CarbonCure)와 기술 계약을 맺고 국내 레미콘 업계 최초로 저탄소 레미콘을 생산할 수 있는 카본큐어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카본큐어 기술은 레미콘 생산과정에서 액화이산화탄소를 주입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액화이산화탄소를 레미콘 혼합과정에서 분사하면 결정화된 이
한국에자이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 받은 툴 기반의 뇌 건강 측정도구 ‘코그메이트(CogMate)’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코그메이트’는 뇌 건강 자가 테스트가 가능한 디지털 도구(비 의료기기)로 특수 알고리즘을 이용해 사용자의 뇌 건강도를 측정한다. △뇌 반응 속도 △주의력 △시각 학습 △기억력 등 4가지 영역의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
포드, 중국 CATL과 미시간 공장 신설 결정 CATL 기술로 포드가 생산하는 구조 중국산 배터리·광물 배제하는 IRA 허점 파고들어 폭스바겐도 최대주주로 있는 중국 기업과 공장 신설 “파트너와 합작투자, 기술계약 등으로 우회 모색”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중국 따돌리기에 구멍이 뚫렸다. 미국은 지난해 8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발효해 글로벌 전기
코오롱생명과학은 13일 먼디파마(Mundipharma Medical Company)와 체결했던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인보사케이주(INVOSSA-K) 기술수출 계약을 해지했다고 공시했다.
계약금 300억 원 중 150억 원은 2019년 3월 수령했으며 미수령한 150억 원은 반환 의무가 없다.
회사 측은 “기수령한 계약금 150억 원에 대해 먼디파마
현대백화점 그룹 패션 업체 한섬이 신규 화장품 브랜드 ‘오에라’ 론칭을 앞두고, 독자 성분을 공개했다.
한섬은 스위스 화장품 연구소와 협업해 개발한 독자 성분인 ‘크로노 엘릭서™’를 ‘오에라’의 원료로 사용했다고 24일 밝혔다. 오에라는 한섬이 처음 선보이는스킨케어 브랜드로 타임과 시스템, 클럽모나코로 유명한 이 업채가 뷰티 이외 사업에 나서기는 1
증권가는 11일, SK바이오팜의 꾸준한 매출 실적 성장을 강조하며 주력 상품인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Xcopri)’를 통한 포트폴리오 확장을 내다봤다.
SK바이오팜의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4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60.51% 증가했다. 순손실은 670억 원으로 적자 폭은 확대됐다.
구자용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엑스코프리의 상반기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은 광동제약과 면역기능 개선 용도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기술 실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고바이오랩이 연구 중인 항바이러스 효능 균주 KBL346 및 KBL352에 대해 면역기능 개선(면역력 증진) 용도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허가를 위한 공동개발을
GC녹십자랩셀은 24일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와 CAR-NK 세포치료제 관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아티바는 GC녹십자홀딩스(GC Holdings)와 GC녹십자랩셀(GC LabCell)이 NK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국에 설립한 회사다.
공시에 따르면, GC녹십자랩셀은 계약금으로 500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사인 노바백스와 백신기술이전을 통해 국내에서 백신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북 안동에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노바백스 스탠리 에르크(Stanley C. Erck) 대표이사와 영상회의를 갖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과 에르크 대표
다음 주 제약·바이오 업계 최대 이벤트로 꼽히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국내외 다수 제약·바이오 유망기업이 참가해 기술계약, 인수합병(M&A)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미약품, 유한양행 등 과거 여러 기업이 이 콘퍼런스에서 대규모 기술이전 소식을 알린 바 있다. 이에 투자자들도 다음 '잭팟'을 터트릴 K바이오 찾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펙사벡 사태로 위기에 몰린 신라젠이 잠시 생명을 연장한 후에도 기술특례상장 제도에 대한 걱정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거래소가 사건이 터질 때면 ‘언발에 오줌누기’식 대책으로 책임만 회피하고, 투자자보호 책무를 소홀이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지금껏 특례상장으로 코스닥 문턱을 넘은 곳은 106개사다. 하지만 매년 영업손실을 내면서도 막대한 스톡옵션을 받았
“해외 기업과의 기술계약이 기약없이 미뤄지고 있습니다. 시기가 너무 안 좋아 안타깝습니다.” 기술특례로 상장한 B사는 상장 초기만 해도 벤처캐피털 서너 곳에서 러브콜을 받으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상황이 180도 바뀌었다. 이들의 목숨줄과 같은 벤처캐피털업계에서 시드, 시리즈A 등 초기 단계 투자에
키움증권은 3일 나이벡과 관련해 플랫폼과 신약가치 재평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긍정적 시각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나이벡은 내년 1월 JP모건 컨퍼런스 폐암 유발 마우스 모델 데이터 공개하고, 같은 해 중순 siRNA(짧은 간섭 RNA) 동소 데이트를 도출한다. 이후 하반기에는 NIPEP-TPP 플랫폼 기술을 이전하고 2022년 경구용 염증성 장 질환
시노펙스가 두산중공업과 친환경 수처리 기술 계약을 업그레이드하고 시장 확대를 위해 적극 나설 계획이다.
시노펙스는 지난해 11월 두산중공업과 체결한 친환경 수처리 기술인 ‘폐수무방류처리 (ZLD, Zero Liquid Discharge)’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적용 사업 및 용량 범위에 있어 대폭 업그레이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특수효소 전문업체 제노포커스가 분자진단 전문업체 솔젠트와 체외분자진단용 3종 효소 및 단백질 생산 기술제휴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기술제휴를 통하여 솔젠트는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량을 현재 주 당 3000키트에서 주당 10만키트로 30배 이상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솔젠트의 코로나19 진단키트는 qRT-PCR(실시간 중합 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