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을 살기 좋은 쾌적한 공간으로 정비하는 농촌공간정비사업 올해 1차 대상지로 합천군, 예천군, 당진시, 청도군 등의 12개 지구가 선정됐다. 선정되면 5년간 최대 150억 원까지 지원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을 쾌적하고 살기 좋은 정주 공간을 만들고 농촌다움을 높이기 위해 추진 중인 농촌공간정비사업의 2025년도 1차 신규 지원 대상으로 12개 지구
한국농어촌공사는 18일 ‘스마트축사, 농촌다움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성공적인 스마트 축사단지 조성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정부 관계자, 전문가, 축산업계 종사자 등 80여 명이 함께 모인 이번 토론회는 대한민국 축산업의 발전과 농촌 환경과의 공생을 위한 정책을 공유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
내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이 18조7000억 원 넘게 편성됐다.
해당 예산은 농가 경영안정, 농촌소멸 대응, 농업 경쟁력 제고 등에 집중 투자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도 소관 부처 예산안(지출)이 올해보다 2.2%(4104억 원) 늘어난 18조7496억 원 규모로 편성됐다고 27일 밝혔다.
농식품부 예산은 2022년 16조8767억 원, 20
내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이 올해보다 약 4000억 원 늘어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올해 대비 2.4%, 4018억 원 증액한 17조2785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31일 밝혔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은 "실제 중앙정부 가용재원 증가율인 1.5%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며 "이차보전으로 전환된 정책자금 융자 예산 3795억 원과 신규로
정부가 농업직불금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가루쌀과 밀·콩 생산단지 지원을 확대한다.
30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내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에 농업직불금을 개편해 그간 직불금 지급대상에서 제외된 실경작자 56만 명을 대상에 포함시킨다.
관련 예산은 3000억 원으로 2017년부터 2019년 농업직불금 지급실적 요건을 삭제해
최근 5년간 매년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5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창업과 영농활동을 밀착 지원하기로 했다.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지역 농협을 통해 컨설팅을 제공하고, 정책과 농지, 일자리 등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도 올해 안에 구축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