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향한 금감원 날선 칼날…보험사 M&A 향방은?

입력 2025-02-04 16:54 수정 2025-02-04 16: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감원, 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 조기 확정 방침
동양·ABL생명 인수, 금융위 최종 판단에 달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날선 칼날이 우리금융지주를 정조준했다.

이 원장은 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진행한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결과' 브리핑'에서 우리은행의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에 대해 "현 경영진 책임"이라고 거듭 언급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 원장은 특히 은행 제재와 별개로 경영실태평가 등급 산정 과정을 빠르게 진행하겠다고 했다. 우리금융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동양생명과 ABL생명 인수합병(M&A)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자회사 인수 최종 승인 권한은 금융위원회에 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의 자회사 편입 심사통과의 결정적인 기준이 될 경영실태평가 결과를 이르면 다음 달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신속한 결과 발표를 위해 수개월이 소요되는 제재 절차와 '투 트랙'으로 분리해 경영실태평가등급 산정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원장은 "지난달 15일 동양·ABL생명에 대한 우리금융 자회사 편입 심사신청이 들어왔다"며 "2월 중 금융위에 (경영실태평가 등) 정기검사 결과를 송부해 3월 중에라도 금융위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의 발언은 우리금융의 경영평가를 신속히 마무리하고, 동양·ABL생명 인수 여부를 조기에 결정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주목되는 점은 의도다. 이 원장이 이날 검사 결과를 발표하며 우리금융의 M&A 의사결정 절차가 미흡했다는 지적도 내놨다.

업계에서는 현재 2등급인 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3등급으로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의 규정에 따르면 금융지주사가 신규 자회사를 인수하려면 지주사와 기존 자회사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모두 2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이복현 금감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진행한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이복현 금감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진행한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우리금융이 2등급을 유지하게 되면 동양·ABL생명 인수는 문제없이 진행될 수 있다. 평가 항목으로만 보면 우리금융에 불리하다. 이번 경영실태평가부터 내부통제가 별도 평가 부문으로 분리된 데다 평가비중도 기존 5.3%에서 15%로 3배 이상 대폭 상향 조정됐다. 여기에 경영실태평가에 반영되는 보통주자본비율(CET1)도 당국 권고치를 밑돌고 있다.

우리금융이 3등급 이하를 받더라도 M&A가 바로 무산되는 것은 아니다. 금융지주회사감독규정 제10조 4항에는 '등급 또는 기준 등이 미달하는 경우에도 자본금 증액, 부실자산정리 등을 통해 요건이 충족될 경우 금융위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경영상태가 건전한 것으로 본다'는 규정이 있다.

또 금융지주회사법 제16조 3항에 따르면 금융위는 경영 건전성 개선 등의 조건을 붙여 금융지주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할 수 있다고 명시됐다. 우리금융은 지난 2004년 LG투자증권 인수 시에도 경영평가등급이 3등급이었지만 자회사 편입 승인 심사를 통과한 적이 있다.

우리금융과 비슷한 상황에서 자회사 편입을 승인받은 사례도 있다. 2014년 전산 교체 관련 내분 사태로 감독당국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KB금융이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 인수를 승인받은 것이다. 당시 KB금융은 내분 사태와 연관된 사외이사들의 전원 사퇴와 지배구조 개선안 제출 등의 자구책을 마련하고 금융위로부터 인수 승인을 받을 수 있었다. 우리금융 역시 건전성 및 내부통제 강화 등을 조건으로 한 '조건부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열려있는 것이다.

여기에 거래금액만 1조5493억 원에 달하는 빅딜을 금융위가 불허하는 것이 부담이 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이번 계약에는 12개월 안에 인수가 마무리되지 못해 다자보험이 계약을 파기할 경우 총 인수가액(약 1조5500억 원)의 10%에 해당하는 계약금을 몰취한다는 조항까지 달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심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섣불리 얘기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면서 "국내 금융산업의 신뢰성을 해치지 않도록 모든 상황을 충분히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용, 샘 올트먼-손정의 3자 회동... ‘AI 동맹’ 구축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올해 1만 원 더 인상된 문화누리카드…신청하고 문화생활 혜택받아볼까 [경제한줌]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트럼프 관세 발효에...중국, 즉각 보복관세·구글 반독점 조사 맞대응
  • 오픈AI 만난 카카오…AGI 시대 앞당긴다
  • 이번에는 석굴암 조명…국립중앙박물관 굿즈 '뮷즈' 품귀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940,000
    • +2.74%
    • 이더리움
    • 4,297,000
    • +4.68%
    • 비트코인 캐시
    • 522,000
    • +2.86%
    • 리플
    • 4,023
    • +6.23%
    • 솔라나
    • 325,900
    • +3.07%
    • 에이다
    • 1,172
    • +4.74%
    • 이오스
    • 931
    • -0.53%
    • 트론
    • 348
    • -1.14%
    • 스텔라루멘
    • 540
    • +0.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950
    • +2.4%
    • 체인링크
    • 31,840
    • +5.85%
    • 샌드박스
    • 624
    • +2.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