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대도시권보다 더 빨리 고령화 중앙집권화, 중국과의 경쟁 심화에 ‘쇠퇴 악순환’한국 100대 기업 중 어떤 곳도 본사 안 둬”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저출산과 고령화 등에 따른 인구 감소로 한국 제2의 도시인 부산이 소멸 위기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FT는 9일(현지시간) 약 330만 명이 사는 부산이 1995~2023년 60만 명이 감소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국내에선 처음으로 철도를 복개한 상부공간에 콤팩트시티(압축도시)를 경기 남양주 다산신도시에 조성한다.
GH는 5일 경기 남양주 경기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남양주시와 다산신도시내 경의중앙선 철도 복개 상부공간에 ‘입체복합형 콤팩트시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콤팩트시티’는 도시 중심부에 주거 및 상업시설 등을 밀집시켜 압축
‘인구 감소’ 경고음이 요란하다. 한국의 인구 감소 위기를 두고 미국 뉴욕타임스(NYT) 칼럼니스트가 흑사병이 창궐해 인구가 급감한 14세기 중세 유럽보다 더 심각하다는 경고를 내놨다. 북한의 남침 가능성도 제기했다. ‘한국은 소멸하는가’라는 칼럼 제목으로 국가 소멸이라는 극단적인 미래를 부각시켰다.
통계청의 암울한 전망도 이어졌다. 지난해 0.78명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방권 공공주택지구 6곳을 대상으로 ‘도시건축통합 마스터플랜 설계공모’를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도시건축통합계획은 기획단계에서부터 도시‧건축‧시설물을 아우르는 입체적 마스터플랜을 세운 뒤 이를 기반으로 도시계획과 건축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이다. LH는 각 지역별 특성을 살려 지방도시의
한국부동산경영학회는 ‘초역전시대, 부동산환경의 현재와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하반기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내달 3일 오후 2시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국제회의실에서 열린다. 1부는 전경운 경희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다. 제 1주제는 새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철학과 기회발전특구(오문성 한양여대 교수), 제 2주제는 일본의 지방
전국 미분양관리지역 11곳 중 10곳이 지방 경남 창원시, 경북 경주시 인구 감소율 5% 육박 중소 도시 지원안 필요
# 2015년 분양한 경북 경주시 황성동 ‘황성 휴포레’ 아파트. 이 단지는 분양 신청이후 5년 지났지만, 전체 444가구 가운데 112가구가 미분양 상태다. 천북면 ‘휴엔하임 퍼스트’는 지난 2016년 분양 이후 전체 659가구 가운데
포스코는 14일 자사와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대통령직속기관)가 후원하는 ‘2020 저출산 심포지엄’이 개최됐다고 이날 밝혔다.
심포지엄은 ‘인구절벽ㆍ지방도시 소멸의 시대, 청년이 행복한 나라에 미래가 있다’라는 주제로 저출산 문제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가 공유됐다.
행사는 코로나19로 행사장 참석을 최소화하면서 포스코 기업시민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 지방 12개 중소도시가 인구 감소로 쇠퇴를 넘어 소멸할 수 있으므로 원도심 개발과 관련 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정책 조언이 나왔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지난 3일 ‘인구 감소시대 지방 중소도시의 지역재생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내 12개 소멸 위험 도시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방 중소도시 41곳 가운데 10년간 인구 감소율 5% 이
정부가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총 99곳을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전국적인 인구 감소 지역 증가와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 등에 따른 도시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시범사업 68곳에 비해 대폭 확대된 수준이다.
정부는 이번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을 토대로, 지역밀착형 생활 SOC 투자를 본격화해 주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범정
우리나라가 8년만에 251억달러 규모의 순채무국으로 전환됐다. 하지만 상환 부담이 적은 외채를 빼면 여전히 861억달러 규모의 순채권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8년 9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251억달러로 17억달러 규모의 순채권을 보유했던 6월말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