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 엔터 맞아? 감다살
데뷔 프로모(프로모션)가 왜 이래? 감다죽
최근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필수 용
삼일PwC는 ‘보릿고개 넘는 K-면세점, 위기진단과 제언’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보고서는 적자에 허덕이는 면세점 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됐다.
보고서는 팬데믹이 끝난 이후에도 면세점 사업 회복이 지연되는 원인은 중국 관광객의 객단가가 과거보다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5~6년 전만 해도 다수의 중국인이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 네이처리퍼블릭이 속옷 1세대 토종기업 쌍방울의 최대주주가 된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 20일 쌍방울의 최대주주가 기존 광림에서 자회사 세계프라임개발로 변경된다고 공시했다.
세계프라임개발이 광림이 보유한 쌍방울 전체 주식 63만2297주를 70억 원에 양수했다. 세계프라임개발은 정운호 대표가 지
국내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들이 올해 꽤 호실적을 거뒀다. 이커머스와 오프라인 헬스·뷰티(H&B) 매장에 입점하며 유통망을 확장한 덕분이다. 여기에 K뷰티가 해외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면서 글로벌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며 실적 개선을 돕고 있다.
27일 뷰티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뷰티 로드숍 브랜드들은 이커머스와 H&B 오프라인 매장, 해외 시
이마트, 2015년 베트남부터 몽골ㆍ필리핀 등 진출
세계 20여개 국에 노브랜드 PB 수출 활발
이마트가 베트남, 몽골, 필리핀에 이어 라오스를 해외 거점으로 삼고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체 브랜드(PB) 중심의 노브랜드를 연 데 이어 대형마트(이마트)도 순차적으로 개점하는 투 트랙(Two track)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마트는 국
“지역 불균형으로 백화점 슈퍼마켓 양극화 심화”“중국 내수 부진으로 면세점 업황 악화 지속”“생성형 AI 기반 C커머스 시대 개막할 것”
최근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통 산업의 생존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상의는 2일 상의회관에서 올해 유통업계를 결산하고 내년 유통시장의 변화와 판도를 미리 조망해보는
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아, 여기까지 왔는데…
최근 서울의 한 다이소 매장에서 들린 탄식입니다. 제품을 문의한 고객에게 직원이
무신사의 자체 브랜드(PB) 무신사 스탠다드(musinsa standard)의 월 매출이 100억 원을 처음으로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기반으로 태동한 무신사의 오프라인 진출 전략이 결과적으로 성공하면서 무신사의 영토 확장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무신사는 무신사 스탠다드의 10월 오프라인 스토어 매출을 분석한 결과 약 120억 원으로 집계됐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중화권 공략에 속도를 낸다.
교촌에프앤비는 대만 타이중에 첫 로드숍 매장을 개점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매장 개점으로 교촌치킨은 대만에 다섯 번째 매장을 열게 됐다.
이번에 문을 연 ‘교촌치킨 타이중점’은 쇼핑과 야시장 먹거리로 유명한 대만 중부 타이중시에 있다. 타이중의 대표 관광 명소인 중화 야시장과 국립 타
무신사 뷰티는 6일부터 8일까지 열리는 '무신사 뷰티 페스타 인(IN) 성수'와 함께하는 40여 개 로컬숍 리스트를 3일 공개했다.
이번 제휴처는 대규모 오프라인 팝업 행사가 열리는 3일간 성수역에서 서울숲을 연결하는 성수동 일대에 있는 로컬숍으로 구성됐다. 메인 팝업 공간인 아이언 빌딩, 무신사 테라스 성수, 무신사 스퀘어 성수4와 인접해 행사 기간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 2분기 매출액이 1조5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고 6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22억 원으로 4.2% 증가했다.
2분기 아모레퍼시픽그룹은 국내와 중화권에서 매출이 하락했지만, 코스알엑스 실적 편입 효과로 미주와 EMEA(유럽, 중동 등) 지역에서는 매출이 가파르게 증가했다.
특히 라네즈, 헤라, 에
토니모리·잇츠한불, 영업이익 세자릿수 신장유통망 다각화 및 해외 시장 공략 확대 주효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가 올 1분기 호실적을 기록하며 부활의 날개짓을 펴고 있다. K뷰티 열풍에 힘입어 유통망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보폭을 넓힌 전략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미샤를 운영하는 에이블씨엔씨는 올 1분기
아모레, 프리미엄 라인 이익 개선...매출 감소에도 영업익 13% 늘어더페이스샵ㆍ이니스프리 등 로드숍 부진...“채널 다변화로 활로 모색”
국내 화장품 업계 양대 산맥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이 오랜 부진을 털고 실적 기지개를 켜고 있다. LG생활건강은 대표 브랜드인 '더후',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와 '헤라'가 각각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다만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1조68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2% 감소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1.7% 증가한 830억 원이다.
계열사별로 보면, 주력인 아모레퍼시픽 국내외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2.9% 증가한 727억 원이다. 국내 사업에서는 설화수, 헤라, 라네즈, 에스트라, 한율, 일리윤 등이 고객
롯데GRS가 운영하는 크리스피크림 도넛은 도넛 자판기 누적 매출액이 지난해 기준 10억 원을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크리스피크림 도넛은 생산 설비가 구비된 대형 매장 운영 전략과 함께 저투자 고효율을 위한 고객 접근성 확대를 고민했다. 이에 여의도점을 시작으로 도넛 자판기 운영에 나섰다. 판매 메뉴는 시그니처 메뉴인 오리지널 글레이즈(더즌, 하프더즌
네이처리퍼블릭, 25개국 200여개…일본·중동 시장 확대스킨푸드, 동남아·유럽…토니모리, 미국 시장 공략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들이 해외 시장 진출로 부활의 날개를 펴고 있다. 중국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태에 이어 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면서 한동안 실적 부침을 겪었으나, 해외 시장 확대로 실적 반등을 꾀하는 모양새다.
7일 화장품
지난달 30일 오후 찾은 서울 중구 명동 올리브영 명동점은 그야말로 발 디딜 틈 없었다. 한국 화장품을 둘러보는 외국인 관광객으로 통로를 지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주로 일본인부터 동남아, 유럽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국적도 다양했다. 개인 여행으로 온 것으로 보이는 중국인 관광객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CJ올리브영이 운영하는 올리브영 명동점은
올리브영ㆍ온라인 업체 납품으로 성장세 꾸준
로드숍 사업 축소 추세…"가맹점주 반발 변수"
화장품 중견업체와 대기업 서브 브랜드의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클리오, 애경산업은 실적이 눈에 띄게 성장하는 반면 이니스프리, 더페이스샵 등은 대기업 계열 브랜드의 부진은 계속 되고 있다. 판매 채널이 여러 브랜드를 파는 편집숍과 온라인 위주로 바뀌면서 업계의 지형
일본인 대상으로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유튜버들이 화장품 전문점에서 예의 없는 행동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지난달 9일 한국인과 일본인 남성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떡볶이 사무라이’에서는 ‘한국에서 1만 엔으로 얼마나 즐길 수 있는지 검증해 봤더니’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이 영상에는 서울 명동을 방문해 먹거리, 로드숍을 체험하는 유튜버들의 모습
패션그룹형지가 지난해 완전자본잠식 꼬리표를 떼어내는 데 성공했다. 송도 신사옥에 대한 자산재평가에 더해 최병오 회장의 수백억 원대 자금 수혈이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업계와 금감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패션그룹형지는 지난해 대폭 개선된 실적을 올리며 적자 폭을 줄였다. 작년 연결 영업손실은 42억 원으로 전년 523억 원 대비 적자 규모를 대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