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우 iM금융그룹 회장은 “금융권 최초의 지역에 본사를 둔 시중금융그룹으로서 iM금융그룹이라는 일체화된 브랜드로 출발하는 것을 계기로 과감한 변화와 도전을 가속할 것”이라고 26일 말했다.
iM금융지주는 이날 오전 열린 제1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상호 변경에 대한 정관 개정을 결의하고 ‘iM’으로의 사명을 공식화했다.
상호 변경 등 정관 일부 변경
KBvs신한, 비은행이 가른 '리딩금융' 비은행 키운 하나, 밸류업도 속도 우리, 은행 비중 93%, 비은행 강화 시급
올해 금융권의 화두는 '비은행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은행 부문은 금융지주의 실적 경쟁에서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인이 됐다.
비은행 계열사의 기여도가 컸던 KB금융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순이익 '5조 클럽' 입성에 성공했
지난해 iM뱅크 순이익 2.0% 증가 iM증권 올해부터 수익성 회복 기대 자사주 600억 소각 실행 계획 발표보통주 1주당 500원 현금배당 결의
DGB금융그룹이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해 누적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2208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43.1% 감소한 수치로, 비은행 계열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취약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순익 5조 원 시대를 연 KB금융의 양종희 회장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약속을 지키기 위한 것이다. KB금융은 상반기 약 52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시작으로 연간 총 1조7600억 원을 주주환원에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당기순익 5조782억…비은행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하나금융그룹이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재차 강조했다. 4000억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진행하고 올해부터 연간 현금배당총액 고정ㆍ분기 균등 현금배당을 시행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은 4일 '2024년 연간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전년 대비 3171억 원(9.3%) 증가한
새 CEO에 실적위주 영업통 배치기존 수익모델 벗어나 혁신 추구전통 가치와 디지털 결합이 과제
당태종 이세민은 태자였던 형을 죽이고 황제에 오른 인물이다. 그가 죽인 형에게는 위징이라는 책사가 있었는데 일찌감치 이세민의 위험을 감지하고 태자에게 “이세민을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고 간언했던 인물이다. 황제에게는 잡아 죽여 마땅치 않은 인사인데 뜻밖에도 위징
신임 5대 은행장들 '영업 전문가'로 꼽혀 대내외 불안에 혁신 인사로 변화 꾀해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최고경영자(CEO)가 대부분 교체됐다. 정상혁 신한은행장만 나홀로 생존했다. 금융지주사들은 대내외 위기 돌파에 초점을 맞추고 그간 은행장 인선의 관례를 과감히 깬 ‘파격’과 ‘혁신’의 그림을 그렸다.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
◇주성엔지니어링
3Q24 실적 서프라이즈. 불확실성 요인 해소
3Q24 매출액 4,188억원(YoY +47.1%), 영업이익 1,302억원(YoY +350%) 기록
견고한 중국향 반도체 장비 매출, SK하이닉스향 장비 발주에 따른 큰 폭의 성장
분할 철회 및 자사주 취득 공시를 통해 불확실성 해소, 주가 업사이드 가능성 높음
신석환
대신증권
◇유한양행
KB 9.5조ㆍ신한 8.5조 수익NHㆍ우리ㆍ하나는 6조원 대영끌 수요, 기업대출 크게 늘어은행들 이자장사 비판도 커
5대 금융그룹이 올해 3분기까지 이자로 벌어들인 수익이 38조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 분기 역대 최대 순익 성적표를 내놓을 수 있었던 배경으로 이자이익이 꼽히고 있는 가운데 3분기에도 12조5000억 원을 거둬들였다. 영끌(영혼까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까지 3조2254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하나금융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은행의 절대적 규모를 키우고 계열사 간 시너지를 통해 비은행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29일 하나금융은 공시를 통해 3분기 1조1566억 원의 순이익(지
직전 분기 대비 168.3% 증가iM뱅크 분기 최대치 실적 영향3년간 1500억 원 자사주 소각
DGB금융그룹이 실적발표를 통해 올 3분기 순이익이 직전 분기 대비 증가했다고 밝혔다. 창사 이래 최초로 2027년까지 약 1500억 원 수준의 자사주를 소각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28일 DGB금융에 따르면 3분기 순이익이 직전 분기(382억 원)
DGB금융그룹은 올 3분기 당기순이익(개별)이 전년 동기 대비 10.8% 감소한 1026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다만, 직전 분기(382억 원) 대비로는 168.3% 증가했다. 아이엠뱅크(IM뱅크) 실적이 역대 분기 최대치를 경신한 영향이다.
iM뱅크의 3분기 실적은 충당금전입액이 감소세로 전환된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8% 개선
1~3분기 당기순이익이 4조3953억 원…0.4% ↑분기 순이익은 1조6140억…"전분기와 유사한 실적"
KB금융그룹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4조3953억 원을 달성하며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리딩금융' 자리 굳히기에 나선 KB금융은 올해 연간 당기순익 5조 원 돌파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특히 KB금융은 이같은 호실적을 바탕으로 1000억
내년부터 CET1비율 13% 초 자본 환원 자기자본이익률 10% 이상 달성 목표 "본질적인 기업가치 증대 위한 방안 마련"
KB금융그룹은 24일 올해 3분기 경영실적 발표와 함께 지속가능한 밸류업(Value-up) 방안을 내놓았다.
이날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이사회가 결의한 '본원적 수익창출력 강화 방안'과 함께 보통주자본 비율(CET1비율)과 연계
DGB금융그룹이 시중금융그룹으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그룹 계열사 브랜드 '아이엠(iM)'의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 'imagine More(더 상상하라)'를 공개했다.
새 슬로건은 기존 그룹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인 'Boundless(경계가 없는)'와 'Go Beyond(경계를 뛰어넘는)'를 계승하면서 iM으로의 변화의 의미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정체
비은행 계열사 자산 감축해 은행 여신 성장 지원iM뱅크에 힘 싣고 주주가치 제고 적극 대응 의도"자본 효율성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략 추진"
DGB금융그룹이 '자본 효율성 극대화'를 그룹의 새 전략으로 삼고 주주가치 제고에 적극 대응하는 방향으로 포트폴리오를 수정한다고 7일 밝혔다.
DGB금융은 그룹의 새로운 전략 방향을 실천하기 위해 자본비율 목표를
ELS 배상 관련 일회성 이익 발생…이자수익도 견조 핵심 자회사들도 호실적…밸류업 계획도 내놓아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가 올해 2분기 역대 최대 규모의 순이익을 올렸다. 1분기 발목을 잡았던 홍콩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배상 여파에서 벗어난데다 가계·기업 등 대출 자산이 크게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비은행 계열
증권사, 새 간판 달고 제2도약 노린다
이베스트→LS…하이투자→iM로 사명변경
새 비전·경영혁신 의지…억대 비용은 부담
증권사들이 잇달아 새로운 간판을 내걸고 있다. 비용 부담에도 기존 이미지를 벗어나 새로운 경영 비전을 보여주며 제2 도약을 노리겠다는 포부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베스트투자증권은 1일 LS증권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