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은 파키스탄 고순도테레프탈산(PTA) 자회사 보유 지분 75.01% 전량을 파키스탄계 사모펀드 'API'와 아랍에미리트 석유 유통 회사 '몽타주 오일 MLCC'에 매각한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상반기 내 거래를 마무리해 매각 대금 약 979억 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지난해 6월에는 미수령 배당금 약 296억 원 수취를 완료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해 7조 원이 넘는 수주고를 올리며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올해는 10조7000억 원어치 수주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가스터빈 기자재 공급 및 관련 서비스, 시공 등을 포함해 7조1314억 원의 수주를 거두며 당초 계획 대비 초과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수주 잔고는 15조8879억 원이다.
올해 수주 계
BNK투자증권은 17일 KT에 대해 자산의 효율화와 재분배가 기업가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목표주가를 6만 원으로 기존 대비 9.0%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김장원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2024년 금융과 콘텐츠 그룹사 매출 감소에도 통신과 AX 성장으로 전년 수준의 매출을 유지했다"며 "영업이익은 4분기 대규모 인건비 증가
석유화학 공급 과잉에 3년 연속 적자신규 투자 보수적 재검토…연간 투자액 작년보다 1조 이상 축소자산 경량화ㆍ계열사별 혁신 활동 지속
롯데케미칼이 올해도 신규 투자를 축소하고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는 등 강도 높은 재무 개선 작업과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속도를 낸다. 또한 본원적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계열사별 혁신 활동 담당 조직을 신설하기로
KT&G가 작년 한해 역대급 매출을 냈다.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1.5% 증가해, 4년 만에 외형 성장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성과를 냈다.
KT&G는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1조1848억원으로 전년보다 1.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공시했다.
매출은 5조9095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8626억 원) 대비 0.8%
시황 악화 탓 실적 부진사업 경쟁력 강화ㆍ개편위기 극복 및 미래 준비
포스코홀딩스가 지난해 주력 사업인 철강 시황 악화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도 어려운 시장 환경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글로벌 사업기회를 확대하고, 설비 강건화와 효율화로 본원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3일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72조6880억
포스코인터내셔널은 3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매출 32조3408억 원, 영업이익 1조1169억 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4%, 4% 감소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운용 효율화 및 핵심 역량 집중을 위한 일부 비핵심 자산의 매각 비용이 세전이익 및 당기순이익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퓨처엠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로 지난해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포스코퓨처엠은 수요 위축, 대외 불확실성 등이 지속됨에 따라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기로 했다.
3일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3조6999억 원, 영업이익 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22.3%, 영업이익은 98.0% 각각 감소했다.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넘어 ‘미국 유일주의(America Only)’ 정책을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공식 취임했다. ‘트럼프 노믹스’ 시즌2가 현실화한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미·중 무역갈등으로 시작된 자유 무역주의 쇠퇴가 가속화하고, 글로벌 무역전쟁은 더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중국 견
보편적 관세 등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 변수차-화학-정유-철강, 현지 공략 및 구조조정 나서디스플레이, 차세대 제품 기술격차 확대 주력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넘어 ‘미국 유일주의(America Only)’ 정책을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공식 취임한다. ‘트럼프 노믹스’ 시즌2가 현실화한 것이다. 트럼프
올해 M&A 시장 회복 가능성...비핵심 자산 구조조정 나설듯트럼프 2.0 시대 도래... 정책 기조가 M&A 시장 주요 변수
국내 주요 회계법인의 인수합병(M&A) 전문가들은 올해 가장 거래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하는 섹터(업종)로 K뷰티와 헬스케어를 꼽았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산업 관련 정책 기조가 M&A 시장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철강업계 혹독한 겨울나기 ‘한숨’작년 영업이익 3조…전년比 22% ↓“설비 투자ㆍ고부가 개발에 최선”
글로벌 시황 부진과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철강업계가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중국산 저가 제품 유입, 역대급 엔저 등 업황 악화가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구조 개편·고부가가치 제품 확대 전략으로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6일 금
알리바바, 사실상 헐값에 선아트 지분 매각오프라인 매장 확대 전략 후퇴...본업에 집중키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그룹이 ‘중국판 월마트’라고 불리는 슈퍼마켓 체인 ‘선아트리테일그룹’ 지분을 매각한다고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선아트 지분 78.7%를 약 16억 달러(약 2조3500억 원)에 사모펀드
SK스퀘어 관계사 드림어스컴퍼니가 ‘아이리버’ 등 디바이스 사업 부문을 부동산 기업 미왕에 매각한다고 30일 밝혔다. 음악 사업 중심으로 조직구조를 재편하기 위해서다. 매각은 영업양도 방식으로 이뤄지며, 거래대금은 50억 원이다.
드림어스컴퍼니는 음악 플랫폼 FLO(플로)와 음악 콘텐츠 유통·투자 및 공연 기획 제작, MD 등 음악 지식재산권(IP)
KT&G가 2027년까지 4년간 현금배당, 자사주 매입 등 총 3조7000억 원 규모의 주주환원을 추진한다.
KT&G는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 주주환원 등을 담은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수익성 향상, △자산 효율화, △재무 최적화를 통해 2027년까지 ROE를 현재 10% 수준에서 15%까지 끌어올리겠
포스코가 중국 장쑤성의 장가항포항불수강 제철소 매각을 검토한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포스코는 최근 중국 장가항포항불수강 매각을 위한 자문사 선정 작업에 착수했다.
1997년 설립한 중국 합작법인 장가항포항불수강의 조강 능력은 연간 110만 톤(t) 규모다. 포스코홀딩스(58.6%)와 포스코차이나(23.9%)가 전체 지분의 82.5%, 중국 2위
KT가 중장기 재무 목표와 달성방안을 포함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그램)을 5일 공시했다.
KT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2028년까지 누적 1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추진한다.
KT는 2028년도 연결 재무제표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 9~10%를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설정했다. 세부 달성방안으로는 △인공지능 정보통신기
SKC는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 4623억 원, 영업손실 620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2.5% 올랐지만 순손실은 495억 원으로 확대됐다.
영업손실 요인으로 매출 규모의 양대 축인 이차전지 소재와 화학 사업의 부진이 꼽힌다.
이에 따라 SKC는 말레이시아 공장 가동률을 큰 폭으로 끌어올려 원가 구조
포스코가 수익 방어 속 미래성장산업 투자를 지속한다.
포스코홀딩스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8조3210억 원, 영업이익 7430억 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30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작년 동기 대비 3.4%, 37.9% 감소했다.
인프라 부문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발전 사업 이익이 확대됐다. 포스코이앤씨의 비핵심 자산 매각 등 손익만회 활동 등
고금리가 여전히 ‘뉴노멀’인 시대지만, 시장 금리가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 발걸음을 옮기기 시작하자 재계와 투자은행(IB))업계의 표정이 밝아지고 있다. 타이트머니(Tight Money) 시대가 끝나가고 이지머니(Easy Money) 시대가 다시 도래할 가능성이 커서다. 시장금리가 내려가면 기업은 싼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해 투자를 늘리고, 새로운 성장동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