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계, 고물가·이상기후에 의류 판매 감소포트폴리오 다각화·뷰티 사업 강화아모레·LG생건, 인디 브랜드 인수합병 통해 경쟁력 강화
고물가로 소비자들이 의류비 지출을 먼저 줄이는 데다,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패션업계가 내수 부진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 이에 각 업체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판매가 부진한 브랜드를 정리, 경쟁력 있는 브랜드를 들여와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 "M&A 적극 추진"아모레퍼시픽, 코스알엑스 인수 효과 '톡톡'
중국 시장에서 성장세가 꺾인 국내 화장품 제조판매 양대 기업이 올해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중장기적 성장을 꾀할 전망이다.
3일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K뷰티 열풍은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 등 대기업 브랜드가 아닌 인디(중소기업 독립) 브랜드가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은 2일 2025년 신년사를 통해 “경쟁력 있는 최고의 제품을 개발하는 열정과 차별적 미래 가치를 만들어내는 몰입으로 LG생활건강의 저력을 입증하는 한 해를 만들자”고 말했다.
이정애 사장은 “응축된 우리의 역량을 신속하게 제품 중심의 고객가치 혁신에 쏟아붓는다면 시장과 고객을 선도하는 최고의 사업 성과를 창출하는 회사로 거듭날
아모레, 미주·유럽 등 매출 호조...2021년 인수 ‘코스알엑스’ 긍정적 영향LG생건, 중·일 매출 늘었지만 미주 감소세...‘더크렘샵’ 지분 소송전도
국내 뷰티업계 양대 산맥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해외 시장 다각화를 위해 시도한 인수·합병(M&A) 성과가 차츰 드러나고 있다.
3분기 아모레퍼시픽은 중화권 외 서구권과 아시아권 매출이 늘며 점차
ODM사, AI 활용 조색 시스템·색조 화장품 개발 공방 등 도입LG생건·신세계인터, 색조 브랜드 인수…뷰티 포트폴리오 확장
해외 시장에서 우리나라 색조 화장품이 큰 인기를 끌자, 국내 화장품 대기업부터 제조사개발생산(ODM) 기업까지 앞다퉈 색조 화장품 사업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ODM사들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개발 과정을 단축하거나 고
지난해 미국 색조 최대 수입국 1위 ‘한국’위탁생산 업체ㆍ전통 화장품 기업 역량 강화
한국의 색조 화장품이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물들이고 있다. 특히 중소 브랜드가 주목을 받으면서 화장품 업계 기존 주력 품목이었던 프리미엄 기초 제품군의 성장세를 뛰어넘을 정도로 승승장구 중이다.
10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화장품 누적 수출은 총
국내 화장품 투톱 아모레퍼시픽(아모레)과 LG생활건강(LG생건)이 인수합병(M&A)한 중소 뷰티 브랜드를 앞세워 해외 시장 파이를 키우고 있다. 해외에서 특히 더 인기인 중소 인디 브랜드(Indie Brand)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해 글로벌 소비자를 끌어들이겠다는 계산이다.
23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18
LG생활건강은 색조 브랜드 ‘글린트’와 ‘프레시안’이 일본 도쿄에서 이틀간 진행한 팝업스토어에 약 2만 명이 몰렸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처음 열린 코스메랜드는 큐텐에 입점한 업체들이 팝업스토어를 열어 브랜드와 제품을 소개하는 행사로, 일본 도쿄 최대 국제 전시장인 ‘빅사이트’에서 개최됐다.
글린트와 프레시안은 13~14일 일본 온라인 쇼핑몰 ‘큐텐
CJ올리브영은 일본 지바현 마쿠하리 멧세와 조조마린 스타디움에서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열린 '케이콘 재팬(KCON JAPAN) 2024'에서 K뷰티를 알리는 행사 부스를 성황리에 운영했다고 14일 밝혔다.
올리브영 부스는 일본 젊은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올리브영의 자체 색조 브랜드를 알리고, 국내 중소 뷰티 브랜드를 소개하는 콘텐츠로 꾸며
지난해 북미와 동남아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최대 매출을 기록한 화장품 브랜드 클리오가 올해는 일본과 중국 시장 확장을 위해 총력전을 추진한다. 매출 감소를 겪은 두 시장이 회복해 최대 매출을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클리오는 올해 일본과 미국, 중국 등 핵심 시장 매출 확대를 위해 글로벌 성장 총력 계획을 세웠다.
클리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은 지난해 색조 화장품 매출은 전년 대비 약 50%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국내 뷰티 시장 전체 성장률인 11.4%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올리브영이 ‘비건 뷰티(Vegan Beauty)’나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 등 매년 바뀌는 메이크업 트렌드를 빠르게 발굴해 고
CJ올리브영(올리브영)은 차별화된 'MD 경쟁력'을 바탕으로 K뷰티 생태계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
올리브영은 현재 취급 브랜드 80% 이상이 국내 중소기업, 인디 브랜드로 수많은 뷰티 스타트업의 성장 발판이 되고 있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지난해 100억 원 이상의 연 매출을 기록한 ‘100억 클럽’ 브랜드의 절반 이상이 국내 중소기업 브
고운세상코스메틱은 메이크업 브랜드 '힐어스(Heal us)'를 새롭게 선보이며 색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22일 밝혔다. 힐어스는 고운세상코스메틱이 '닥터지(Dr.G)'와 웰니스 뷰티 브랜드 '비비드로우(VIVIDRAW)' 이후 세 번째로 론칭하는 브랜드이자 처음으로 선보이는 색조 브랜드다.
힐어스(Heal us)는 '숨 쉬는 아름다움(Breathi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은 지난해 처음으로 올리브영에서 연 매출 1000억 원을 기록한 중소기업 브랜드가 탄생했다고 6일 밝혔다.
색조 브랜드 '클리오'와 선크림으로 유명한 '라운드랩'이 그 주인공들이다.
또한 입점 브랜드 중 2023년 100억 원 이상의 연 매출을 기록한 ‘100억 클럽’ 브랜드 수가 전년 동기보다 3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
LG생활건강은 8일부터 자사 온라인몰에서 색조제품 할인 행사 ‘메이크업 브랜드 어워드 페스티발’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14일까지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지난해 글린트·코드글로컬러·VDL·프레시안의 일부 품목이 뷰티 플랫폼 글로우픽과 뷰티 매거진 얼루어 등에서 어워드를 수상한 것을 기념해 마련했다.
행사 기간 동안 어워드 수상 제품 특별 할인과 함
한국콜마 ‘매출 2조 시대’ 활짝코스맥스 영업익 전년比 84%↑양사 올해 나란히 최대실적 기록
올해 K뷰티 제품 인기가 세계적으로 인기였지만 화장품 제조기업과 판매기업의 희비가 엇갈렸다. 제조업자 개발 생산(OD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기업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는 K뷰티 인기에 힘입어 올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국내 뷰티업계 투톱인
클리오가 내년 동아시아 최대 시장인 중국과 일본 시장을 확대한다. 기초화장품 브랜드의 미국 아마존 매출이 급성장한 것과 함께 해외 시장을 늘리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화장품 브랜드 클리오는 내년 중국과 일본의 성장을 꾀한다.
클리오 관계자는 “내년엔 일본과 중국 시장에서 다시 성장시킬 계획”이라며 “일본 시장에서 ‘클리오’
아모레, 코스알엑스 지분 추가매입LG생건 '힌스' 인수로 日시장 확대양사, 실적하락에 인기상품 가격 ↑
K뷰티 양대산맥인 아모레퍼시픽그룹과 LG생활건강이 기대했던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며 올해 3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양사 수렁에 빠진 화장품 사업을 끌어올리기 위해 가격 인상, 인수합병을 통한 포트폴리오 변화로 실적 개선 전략을 세우고 있다.
2
화장품과 생활용품 사업 부진으로 LG생활건강의 올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동반 하락했다.
LG생활건강은 올해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한 1조7462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2.4% 줄어든 1285억 원으로 나타났다.
음료(Refreshment)사업 매출은 성장했으나 화장품(Beauty)과
신세계 등 니치 향수 중심으로 시장 확장“패션 매출 감소…리스크 관리 차원”
패션 대기업들이 수익 확대를 위한 돌파구로 향수, 화장품 사업을 선택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코로나를 기점으로 패션 사업 매출 감소를 경험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22일 패션 업계에 따르면 LF, 한섬,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수입 품목을 늘리고 자체 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