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2025년 AI바우처 지원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서 안랩은 안티바이러스 솔루션 ‘V3 제품군’,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보안 위협 분석 플랫폼 ‘안랩 XDR’ 등 AI 기술이 적용된 솔루션 5종을 공급한다.
오큐티, 양자 컴퓨팅 상용화 가속…연구 인프라 확충이스턴에디션, 해외 유통 채널 확대…뉴욕 쇼룸 검토
2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 오큐티(OQT), 이스턴에디션, 부에노컴퍼니, 엔코위더스 등이다.
◇오큐티
양자 컴퓨팅 스타트업 오큐티는 카카오벤처스와 블루포인트로부터 30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오큐티는 양자 컴퓨팅에 필요한 고성
뷰노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259억 원으로 창립 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전년 133억 원 대비 약 95% 증가한 수치다. 작년 4분기 매출은 71억 원으로 8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영업손실은 약 124억 원으로 전년(약 157억 원) 대비 약 21% 감소했다. 회사 측은 매출 증대로 인해 손실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했다.
2032년 생성형 AI 시장 7兆…10년 새 18배↑보안규제 엄격…디지털 신기술‧금융혁신 저해클라우드 허용정책 역행…우수인재 유출 우려보안수준 따라 논리적 망 분리 방식 선택해야“R&D 등 망 분리 적용 예외 사유도 확대하자”‘자율보안-결과 책임’ 디지털금융보안법 필요
지난해 8월 13일 금융당국은 금융분야 망 분리 개선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금융회사
더존비즈온이 인공지능(AI) 도구 ‘One AI’에 대한 기업 고객 유치가 순항 중이라는 증권가 분석에 강세다.
22일 오전 9시 53분 현재 더존비즈온은 전 거래일 대비 7.75% 상승한 6만2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iM증권은 이날 더존비즈온에 대해 One AI를 통한 AI 도입 확대가 매출 증가와 클라우드 전사적 자원관리(ERP) 전환을 가속
용인특례시는 ‘CES 2025’ 시 단체관에 참여한 중소기업 5사가 현지 바이어들과 390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을 진행하고 142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주관하는 세계
1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본작, 잉카엔트웍스, 칼라빈카엔터테인먼트 등이다.
◇본작
뷰티 스타트업 본작은 25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유진자산운용, 아주IB투자, 퓨처플레이 등이 참여했으며, 멀티 클로징 형태로 추가 투자 유치를 계속 논의 중이다.
본작은 프랑스 헤리티지 기반 프래그런스 브랜드 셀바티코(
개인화‧안전한 차량 경험 제공아바타 ‘루나’로 탑승자와 소통음향 솔루션으로 ‘귀 호강’
전장 산업과 고기능·고부가가치 산업의 확대로 삼성전자의 전장 자회사인 ‘하만’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인공지능(AI) 기술, ‘스마트싱스’를 아우르는 생태계와 하만의 기술력이 결합하면서, 자동차와 탑승객에게 차별화된 부가가치를 제공
'차량용 지능' 주제로 혁신 기술 소개개인화‧안전한 차량 경험 제공신제품과 서비스 대거 공개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이 7일부터 10일까지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차량용 지능'을 주제로 한층 개인화된 차량 내 경험을 제공하는 지능형 상황 인식 기술과 제품들을 소개했다.
하만이 새롭게 선보인 자동차용 솔루션
지난해 헬스케어 독립법인 ‘프라임포커스 헬스’ 배출 성과마샬 헬스 네트워크와 시범사업 추진 중…CES서 기술 공개“더 나은 삶 위해 새로운 혁신‧사업 만들 것”
이석우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 부사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열린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LG전자의 차세대 유니콘 사업
KT클라우드가 클라우드∙데이터센터(DC) 분야 전문가를 영입하고, 내부 조직개편을 단행한다고 23일 밝혔다.
공용준 신임 클라우드 본부장은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영역에서 20년 이상 경력을 보유한 인물이다. 클라우드, AI, 고성능 분산 컴퓨팅 등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갖췄다.
공 본부장은 SK C&C 오픈소스 데이터 플랫폼 아키텍트를 거쳐
캐롯손해보험은 반려동물 올인원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구독 플랫폼 페오펫과 함께 '펫보험 VIP 플랫'을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질병과 상해 치료비를 외래나 수술 여부와 관계없이 연간 200만 원 한도 내에서 100% 보장하며, 1일 보상 한도는 따로 설정돼 있지 않다. 자기부담금은 입통원 및 수술 시 각 1만 원만 부담하면 된다.
KB증권은 지난 6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반 디자인플랫폼 기업인 미리디(MIRIDIH)와 2027년 기업공개(IPO)를 위한 대표 주관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2008년 설립된 미리디의 주요 제품은 디자인 플랫폼 '미리캔버스'로, 전문 디자인 소프트웨어 없이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템플릿과 도구를 지
앞으로 금융사에서 카드상품을 비교해주고, 자산관리 상담을 해주는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가 생성형 AI를 활용한 혁신금융서비스를 처음으로 지정하면서다.
금융위는 지난달 27일 정례회의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9개 금융사(KB국민ㆍ신한ㆍNH농협은행ㆍ카카오뱅크ㆍ교보생명ㆍ한화생명보험ㆍKBㆍNH투자증권ㆍKB국민카드)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한 국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들이 다양한 글로벌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3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AWS 리인벤트 2024’에는 스타트업 육성 지원 사업에 선정된 K-SaaS 기업 8개사가 한국을 대표해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다.
AWS 리인벤트는 아마존웹서비스(A
가볍고 저렴하게 효율적으로 업무 혁신 돕는다중소기업 노린 보안·SaaS 솔루션 속속 출시
중소기업 고객을 노린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등 IT 솔루션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점점 커지는 보안 위협과 인공지능(AI)시대 흐름 속에서 '가성비'를 강조하거나, 거대언어모델(LLM) 없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돕는 게 특징이다.
시옷은 중소기업의 정보자산
코딩 개발 능력이 없어도 쉽게 전문 기능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노코드’(no code) 솔루션 제공 스타트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20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히릿소프트가 운영하는 노코드 기반 쇼핑몰 제작 솔루션 ‘메이더’는 출시 2년 만에 1만4000개 이상 고객사를 확보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이다.
글로벌 노코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인공지능(AI) 데이터 통합 플랫폼 기업 비큐AI가 모바일 버전에 이어 ‘AI서퍼 뷰(AISURFER VU)’의 PC 버전 론칭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PC 버전에는 새롭게 추가된 ‘뉴스 요약’ 기능을 포함해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강화됐다.
비큐AI는 지난 9월 이용자들이 PC보다 모바일기기를 선호하는 추세를 반영해 ‘AI서퍼 뷰
루닛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167억70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32억6700만 원 대비 413.4%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해외 매출은 152억 6800만 원으로 전체 매출의 91%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64억68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7% 늘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341억4000만 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인공지능 디지털 문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사이냅소프트가 수요 예측 결과 공모가 희망밴드(2만1000~2만4500원) 상단인 2만4500원으로 확정했다고 6일 공시했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234억 원으로, 일반 투자자 공모주 청약은 8일부터 11일까지 양일간 진행되며 상장 예정일은 19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