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택공급, 주거복지, 사회변화, 주거환경의 4대 분야 주거정책 방향을 포함한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을 확정했다.
국토교통부는 ‘주거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29일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을 확정ㆍ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장기 주거종합계획은 ‘주거기본법’에 따라 수립하는 주택정책 분야의 장기 법정계획이다. 저출생ㆍ고령화, 1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3일 개최된 제27회 환경의 날 기념식에서 부산녹색환경상 녹색기업상을 수상했다고 8일 밝혔다.
부산녹색환경상은 환경보전과 녹색 생활 실천에 공로가 있는 주민과 기업, 단체를 선정해 시상하며, 올해로 23회째를 맞았다.
HUG는 노후 슬레이트 지붕 개량 지원, 임직원 환경정화 봉사 참여 등 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펼친
GS그룹은 허태수 회장의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전략에 따라 디지털 전환에 힘쓰고 있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IT와 데이터를 결합하여 우리의 사업구조를 고도화시키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힘써 줄 것”을 당부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우리가 보유한 핵심 기술에 ‘디지털 역량’을 접목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GS칼텍스는 LG전자와 함께
올해 12월부터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신축 공동주택(30가구 이상)의 에너지 의무절감률이 현행 30~40%에서 패시브하우스 수준인 50~60%로 상향된다.
14일 국토교통부는 에너지 의무절감률의 상향 조정(30~40%→50~60%)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고시)을 개정·공포하고, 올해 12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정부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이 12일 “공급자나 공급물량 중심이었던 주거정책을 수혜가구 위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2 주거복지대토론회에 참석해 “임대주택과 중소형 분양주택 공급, 주택마련 자금지원, 자가주택 개량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구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시행해야 한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환
천정부지로 치솟는 기름 값에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공포까지. 에너지 절약은 이제 대한민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주택. 일명 ‘그린홈’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 중심에 선 미래형 주택 모델이 바로 ‘패시브 하우스’다.
패시브하우스는 제로 에너지 건물로 가는 가장 빠른 지름길
정부가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내놓은 그린홈 시범단지가 일년 가까이 착공 조차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가 지난해 6월 경기도 용인 흥덕지구에 조성키로 했던 단독주택 그린홈 시범지구 사업 참여업체가 없어 지금까지 표류중이다.
이 사업은 태양광ㆍ태양열 주택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용, 기존
“기업가치 극대화, 지속성장이라는 측면에서 한 번 더 도약하기 위해 장기적인 경영목표와 성장 스토리가 필요한 시기가 됐습니다.”
GS건설 허명수 사장이 올 초 “지난 10년간 안정적인 사업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해왔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어 허 사장은 2020년까지 성장 비전을 담은 ‘비전 2020’을 발표했다. 핵심은 ‘글로벌화’다
GS건설 그린홈 기술 홍보관에 외국 대사들이 잇따라 방문해 눈길을 끌고 있다.
GS건설은 지난 6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 위치한 '그린스마트자이 홍보관'에 주한 벨기에 대사인 피에르 클레망 뒤뷔송(Pierre Clement DUBUISSON)이 방문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에는 주한 스위스 대사인 토마스 쿠퍼(Thomas
정부가 앞으로 20가구 이상 공동주택을 에너지절감형 친환경주택으로 건설키로 함에 따라 불가피한 공사비 상승을 분양가에 어떻게 반영하느냐에 건설업계가 고민에 빠져있다.
특히 재건축·재개발 등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사업의 경우 조합과 시공사간 갈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부가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을 강화한 '주택건설기준 등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27일 서민을 위한 보금자리주택 공급 확대 방안 발표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민간공급 활성화를 위해 택지공급을 확대하고 분양가상한제도 반드시 폐지하겠다"며 "수도권 서민 주택 공급을 위해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보금자리주택 확대 방안은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이어 "훼손된 그린벨트만 풀기 때문에 녹색성장에 배치